[스페셜리포트] ‘위성 사무실’ 꿈꾸는 규제자유특구 예비 사업자들

입력 2020-07-27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기부 "상상할 순 있지만, 실증 착수하면 상주할 수밖에 없어"

▲규제자유특구 현황과 부산 블록체인 특구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규제자유특구가 기회이긴 하지만, 사무실을 지방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부담이 크죠. 향후 특구 사업자로 신청하게 되면 공유오피스 같은 것을 이용해 ‘위성 사무실’을 만들 것 같아요.”

서울 서초구에 본사를 둔 블록체인 개발사 A 업체의 대표의 말이다. 익명을 요구한 A 업체 대표는 자신의 이러한 생각이 블록체인 스타트업계 사람들끼리 흔히 하는 이야기라고 전했다. 중기부의 규제자유특구 사업자들은 특구 내 본사나 지사가 있어야 하지만, 대부분 선정 이후 사무실을 이전한다는 조건 하에 선정되기 때문이다. 선정 전에는 지역 제한이 없다. 이 때문에 업체들은 일단 사업자로 선정된 뒤 사무실 이전 문제를 고민하곤 한다. 특구 지역에 유령 사무실이 드물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는 이유다.

부산 블록체인 특구 실증에 참여하는 민간 사업자 4곳의 경우 부산에 지사를 내거나 서울에서 본사를 옮겨 왔다. 부산 블록체인 특구를 현장에서 총괄하는 부산 테크노파크(TP) 관계자에게 사업체별 부산 상주 인원을 물었으나 돌아오는 말은 “기사의 의도가 보이기 때문에 상주 인원은 확인해줄 수 없다”는 답이었다. 특구 사업 관리는 대부분 중기부 산하 지역 TP가 총괄 주관한다.

업체에 개별적으로 확인한 결과 코인플러그는 전체 직원 60명 중 실증에 28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부산 지사의 공유오피스에는 8명이 상주하고 있었다. 현대페이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해 19명이 근무 중이다. 한국투어패스는 실증 인력은 13명이고 부산 사무실에서는 10명 이하의 인력이 있었다. 지역기업인 비피앤솔루션은 24명이 실증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체 중 한 관계자는 “위성 사무실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다”며 “실증 사업에서 영업과 마케팅이 중요한데 이미 수도권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면 이동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기부와 지역 특구 전담팀의 입장은 다르다. 실증 참여 전에는 그런 ‘상상’을 할 수 있지만, 막상 실증을 시작한 뒤로는 지역에 상주하지 않는 한 진행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부산 TP 관계자는 “실증이 가까워지면서 최소 1주일에 한 번은 모여서 회의하고 진행 상황을 체크한다”며 “상주하지 않고 실증하기란 물리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부산 블록체인 특구 전담팀은 오히려 신규 고용 창출 등 성과가 뚜렷하다고 강조했다. 특구 지정 이후 사업자들의 신규 고용 창출 현황을 보면 △부산은행 4명 △코인플러그 15명 △현대페이 12명 △한국투어패스 4명 △부산 TP 1명 △ 비피앤솔루션 11명이다. 여기에 특구 지정 이후 코인플러그는 75억 원, 현대페이는 45억 원의 투자 유치 성과도 냈다. 올해 5월 규제자유특구 운영 성과 평가에서 ‘우수’를 받은 배경이기도 하다.

6월 말 기준 1, 2차 특구 14곳에서는 238개의 사업자가 실증 사업 참여하고 있다. 1차 특구 114개, 2차 특구 124개다. 3차 특구 7곳에서는 126개 사업자가 참여할 예정이며, 이달 28일 관보에 고시되면서 최종 확정된다. 부산 블록체인 특구는 3차 특구 지정에서 실증 사업이 3개 추가됐고, 12개의 사업자가 추가됐다.

3차 특구 지정에서 새 사업자로 추가된 세종텔레콤, 글로스퍼 등은 부산 사무실 이전 계획에 관해 “지사를 낼지 본사를 이전할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중기부 관계자는 고시 이후 이전까지 일정 부분 시간이 소요된다고 해명했다. 1, 2차 특구 선정 때도 대략 사무실 이전까지 평균 5개월이 걸렸다는 설명이다. 그는 “지역 전담팀이 로드맵을 짜 중기부에 보고하는데 사무실 이전 일정도 로드맵에 포함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