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홍수·집중호우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다.
환경부는 AI·강우레이더·수자원 위성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홍수관리'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우선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까지 AI를 활용한 홍수예보 시스템을 도입한다.
홍수에 취약한 전국 100곳의 지방하천에 홍수정보 수집 센서를 설치하고, 각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정보을 기반으로 AI 기술을 적용한 홍수예보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2023년까지 498억 원을 투자하고, 2023년에서 2024년까지 시범운영 단계를 거쳐 2025년부터 홍수예보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강우레이더를 활용, 기습적인 폭우에 따른 돌발홍수를 잡는다.
강우레이더를 활용하면 읍·면·동 단위까지 1시간 전에 예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년 연말까지 개발할 홍수대응 골든타임 확보 기술을 토대로 올해 말까지 낙동강 유역, 내년 말까지는 타 유역을 대상으로 현장 실증을 마치기로 했다. 이 기술은 2022년부터 실용화한다는 목표가 세워져 있다.
아울러 수자원 및 수재해를 감시하는 수자원 위성을 2025년까지 개발한다.
500㎏급 위성으로 시간이나 기상 조건과 무관하게 홍수와 가뭄 등 수자원 정보를 관측 폭 120㎞까지 하루 2회 관측할 수 있다. 홍수와 가뭄, 녹조를 폭넓게 감시할 수 있어 북한 접경지역 관리나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협력 등에도 쓸모가 있다.
수자원위성과 함께 수문 정보를 수집할 정지궤도 통신 위성 개발도 추진된다.
환경부는 올해 관련 선행연구를 수행하고 내년부터는 1427억 원을 들여 영상레이더를 개발한다. 또 위성 자료 활용시스템·물산업 지원 전략 국가 플랫폼 구축 등의 사업에 150억 원을 들일 계획이다
이에 더해 그동안 도면으로 열람하던 홍수위험지도를 2021년부터는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구축, 온라인으로 손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홍수위험지도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 등에 제공돼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 비상대처 계획 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한강, 낙동강, 영산강 등 국가하천에 대해 홍수위험지도 작성이 완료됐고, 현재 전국 지방하천에 대한 홍수위험지도를 마련하고 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과학적 홍수관리기법을 댐 및 하천 정비방안과 함께 항구적 홍수관리대책에 포함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