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배터리 데이’ 바라보는 이차전지 업계…국내 3사 영향은?

입력 2020-09-06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배터리 내재화 가능성 작아…전고체ㆍ나노와이어 기술 적용된 배터리 등 혁신 기술 발표하나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몬트에 있는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의 제조 공장. 프레몬트/AP뉴시스

베일에 싸인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를 바라보는 국내 이차전지 업계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이번 배터리 데이에서 테슬라가 배터리 내재화를 공식화할 것이란 관측이 현실화한다면 세계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는 국내 배터리 3사의 행보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오히려 이번 배터리 데이 이후 국내 배터리 산업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우선 단기간 내 테슬라의 배터리 내재화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테슬라가 제시하는 획기적인 배터리 기술의 방향성에 맞춰 기술개발을 해 나간다면 오히려 LG화학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의 경쟁력이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오는 22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에서 배터리 데이를 개최하고 그동안 자체 배터리 셀 개발 프로젝트인 ‘로드러너 프로젝트(Roadrunner Project)’ 관련 성과를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 배터리 내재화 공식화할까=배터리 데이에 대해 다양한 관측이 난무하는 가운데 테슬라가 배터리 완전 내재화를 시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테슬라는 로드러너 프로젝트를 통해 배터리 양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전고체 배터리 생산 업체인 맥스웰 테크놀로지스와 배터리 장비업체 하이바 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 시장에 배터리 내재화의 신호를 이미 보냈다.

만약 배터리 내재화가 현실화된다면 배터리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매우 클 수밖에 없다. 테슬라는 올해 글로벌 1~5월 누적 전기차(EV) 판매량 기준 시장점유율 17.8%를 차지,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 업체들로선 가장 큰 고객을 제외하고 나머지 한정된 시장에서 경쟁해야 하는 꼴이 돼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테슬라가 배터리 내재화를 발표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 여전히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인 배터리 산업에서 전고체 전지, 리튬 황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중 어떤 제품이 어떤 시점에서 대세가 될지 확실하지 않아 테슬라가 배터리를 100% 내재화하는 모험을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배터리 업체, 자동차 업체들이 어느 때보다 많은 연구개발(R&D)을 지속하고 있다”며 “중요한 개발성과(Breakthrough)가 외부에서 발생할 경우 경쟁력이 도태될 수 있고 좌초자산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 있다”며 “현재 100% 외부에서 배터리를 조달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당장 경쟁자로 삼게 됐을 경우 완전한 자급 체제를 갖추기까지 갈등이 높아질 수 있어 이 부분의 불확실성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배터리 산업은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미 만들어진 시스템을 역으로 추적하여 처음의 문서나 설계기법 등의 자료를 얻어 내는 일)이 어려운 업종으로 테슬라가 배터리 양산을 아직 진행해 본 적이 없다는 것도 배터리 내재화의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뛰어넘는 혁신 기술 공개하나=테슬라가 이번 배터리 데이에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효율성이 월등한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공개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단, 테슬라가 인수한 맥스웰도 전고체 배터리 생산 시점을 2027년 이후로 잡고 있어 기술 개발과 양산 발표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최근 테슬라가 배터리 데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이미지에서 ‘나노와이어’ 기술에 관한 내용을 암시해 이와 관련된 언급도 있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나노와이어 기술을 적용한 ‘100만 마일 배터리’는 전체 수명이 지금보다 5~10배 길어진다.

이와 함께 가격이 높은 니켈과 코발트가 들어가지 않아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배터리를 공개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테슬라의 혁신 기술 발표에도 국내 기업들이 받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테슬라가 추구하는 신기술은 궁극적으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로, 이미 국내 업체들이 테슬라가 언급하는 기술력을 달성할 수 있는 수준에 올라왔다는 것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에너지 밀도가 ㎏당 400Wh 수준이 되는 배터리 양산이 3~4년 뒤에는 가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미 국내 업체들은 추가적인 에너지 밀도 개선을 통해 이 같은 목표가 달성 불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판단한다.

또, 국내 업체들은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배터리 등을 통해 코발트 사용 비중도 현격히 줄이며 가격 경쟁력도 추가로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테슬라가 배터리 데이에서 어떤 발표를 내놓든 불확실성의 제거라는 측면에선 국내 업체들에는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