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자율주행 핵심 인프라 '정밀도로지도' 일반국도까지 구축 완료

입력 2020-10-0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5년까지는 4차로 이상 지방도ㆍ군도 추가

▲정밀도로지도 제작 과정. MMS(Mobile Mapping System)란 차량 등의 이동체에 위성항법장치(GNSS), 관성항법장치(INS), 주행거리센서(DMI), 라이다(LiDAR), 카메라 등의 센서들을 탑재해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치와 시각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국토교통부)
정부가 2022년까지 전국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축척 1:500)를 만들기로 했다. 2025년까지는 4차로 이상 지방도와 군도의 정밀도로지도를 만들어 민간에 개방한다.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의 구축 범위를 확대해 2022년까지 전국 일반국도 약 1만4000㎞의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올해 수도권을 시작으로 일반국도 확대 구축을 착수했으며 내년에는 정부 예산안(160억 원) 반영을 통해 수도권, 강원권, 전라권, 경상권 등 4개 권역의 일반국도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제작이 완료된 전국 고속국도 및 주요 도심 등 약 6000㎞와 함께 2022년 말 기준으로 전국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약 2만㎞의 정밀도로지도가 구축돼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기반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밀도로지도는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 도로와 주변 시설을 3차원으로 표현한 정밀 전자지도로 자율주행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차량-도로 간 협력주행체계(C-ITS)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노면선 표시(차선, 정지선 등), 안전표지판, 신호등, 노면 표시(화살표, 횡단보도 등) 등 14종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정밀도로지도의 기본형태인 벡터데이터와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해 취득하는 점군데이터(Point Cloud), 사진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정밀도로지도는 기상 악천후, GPS 수신 불량 등의 상황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레이더, 라이더 등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센서 탐색 거리(일반적으로 100~150m)보다 먼 거리의 도로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자율주행 센서를 보완한다.

또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의 공통 저장소 개념으로 최근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는 동적지도(LDM)에서 기본지도로 활용돼 자율주행을 위한 C-ITS 정보제공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의 안전도 향상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량의 판단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완전 자율주행차(레벨4~5) 상용화에서도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정밀지도는 올해 8월 기준으로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https://map.ngii.go.kr)을 통해 약 1200여 개 관련 기관ㆍ기업 등에 약 1만8000여 건을 제공, 활용 중이다.

또 국가기본도(1:5000)의 수시수정, 일반국도 도로대장의 갱신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자율주행 외의 다른 분야에도 활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관리관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4차로 이상 지방도 및 군도까지 추가로 구축하는 등 구축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구축된 지도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