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딜로이트그룹은 올해 명품산업의 트렌드는 '지속가능성'이라고 평가했다. 이것이 명품 브랜드 기업의 매출을 회복시키는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딜로이트그룹은 1일 ‘명품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새로운 트렌드와 명품 기업들의 현황을 정리한 ‘글로벌 명품 산업 2020’ 리포트를 발간했다.
딜로이트 그룹은 "2025년 이후 글로벌 명품 시장에서 전체 소비의 절반을 차지할 밀레니얼과 Z세대를 중심으로 ‘Woke(의식있는)’ 패션이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지속가능성'이 명품 브랜드 기업의 매출을 회복시키는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샤넬(Chanel), 에르메스(Hermes), 타미힐피거(Tommy Hilfiger) 등이 1순위 공급자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공개하기 시작하는 등 환경 및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인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탄소중립’이 명품 브랜드 기업의 핵심 가치로 떠오르면서 케링(Kering), 샤넬(Chanel), 에스티로더(Estee Lauder), 랄프로렌(Ralph Lauren), 버버리(Burberry) 등이 RE100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해당 캠페인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2050년까지 필요한 전력의 100%를 신재생 전기 공급자들로부터 조달 받아야 한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라 대면접촉이 줄어들면서 디지털화도 중요한 사업 요소가 됐다.
현재 티파니(Tiffany&Co.), 루이비통(Louis Vuitton), 몽클레어(Moncler), 프라다(Prada)등이 가상현실(VR) 기술이나 클라우드 솔루션을 도입하고, 옴니채널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딜로이트그룹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명품 브랜드의 VIP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19년 회계연도 기준 글로벌 탑100 명품기업의 매출은 2810억 달러(약 327조5000억 원)로 전년보다 8.5%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2018년 회계연도에 전년 대비 10.8% 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성장세가 소폭 둔화했다.
딜로이트그룹은 "주요 명품 브랜드 시장인 미국과 중국의 보호무역정책과 무역제한조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또 탑10 기업의 매출액이 탑100 매출액의 절반 이상(51.2%)을 차지하며 상위 기업 집중 현상을 보였다. 탑10 기업의 구성은 지난 3년간 변동이 없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MCM 그룹이 유일하게 글로벌 명품 기업 탑 100 안에 신규 진입했다. MCM 그룹의 매출은 전년 대비 11.8% 성장하며 66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