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 여파…펀드ㆍ신탁 비중 감소
부자(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와 대중 부유층(금융자산 1억~10억 원)이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주식의 비율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라임ㆍ옵티머스 등 대규모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의 영향으로 이틀의 포트폴리오에서 펀드, 신탁 비중은 감소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지난해 12월 부자와 대중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 한국 부자와 대중 부유층 자산관리 트렌드’를 8일 발간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부자와 대중 부유층 모두 주식 투자에 적극적이었다. 부자의 53%, 대중 부유층의 48%가 코로나19 이후 주식 비중을 늘렸다고 답했다. 금융자산 수익률을 10% 이상 거둔 부자와 대중 부유층은 주식 직접투자(49%)와 주식형 펀드(13%) 덕분이었다고 응답했다.
이들의 경기 전망은 부정적인 편이었다. 실물 경기의 경우 응답자의 61%가, 부동산 경기의 경우 52%가 앞으로 더 안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절반 이상은 올해 ‘현재의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보다 ‘관망하겠다’는 태도가 우세한 것이다.
자산구성을 변경할 계획인 경우,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부동산 자산을 50억 원 이상 보유한 고액자산가의 29%는 부동산 비중을 줄이겠다고 답했다.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부동산 자산에서 금융 자산으로 포트폴리오 변화를 꾀하는 것이다.
올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투자할 계획인 금융상품은 단기금융상품, 지수연계상품, 정기예금, 주식 직접투자, 외화자산(해외주식, 해외채권, 달러 등) 순이다.
부동산 거래에 있어 부자는 정책 변화에 상관없이 주로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매입의 경우 “매입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43%에서 56%로, 매각의 경우에도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응답이 51%에서 56%로 늘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향후 정책 변화 등 추이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응답은 매입은 42%에서 26%로, 매각은 30%에서 21%로 줄었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를 확인하였고,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이 가중되면서 부자들의 태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수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부자들과 대중부유층들은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으로 관심이 옮겨온 경향이 있다”며 “단기금융상품과 예금의 비율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국내 및 해외주식, 지수연계상품, 주식형 펀드 투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