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마다 흔들리는 최고경영자 입지에 우려 목소리도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연임 여부를 결정할 주주총회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치권 등에서 연임 반대가 이어지고 있다. 재계는 정권마다 흔들리는 최고경영자의 입지를 우려한다.
포스코는 1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최 회장 연임 안건을 다룬다.
포스코 이사회는 작년 12월 최 회장을 최고경영자(CEO) 후보로 추천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철강 사업 회복을 이끈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다. 실제 포스코는 지난해 코로나19 쇼크에도 영업이익 2조4030억 원을 달성했다.
주목할만한 성과에도 여권에서는 연일 최 회장을 공격하고 있다. 포스코에서 잇달아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해 최 회장이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15일 당 최고위원회에서 “포스코는 최고경영자가 책임지고 산업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한 조처를 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라며 “포스코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은 스튜어드십 코드를 실행해 포스코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청문회에서는 민주당 의원들이 최 회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자진사퇴할 생각이 없냐” 묻기도 했다. 3일에는 국회에서 ‘최정우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라는 제목의 토론회도 열렸다.
최근에는 최 회장을 비롯한 임원들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자사주를 매입해 부당이익을 얻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재계에서는 포스코를 향한 여권의 비판이 논리에 맞지 않는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재계 관계자는 “조사 결과 포스코가 소홀히 했다는 지적이 나오면 포스코가 책임을 지는 것이 맞다”면서도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권이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몰아세우는 행위는 적절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전날 국민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 회의에서도 최 회장에 대해 수탁자책임 활동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반대 사유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여권의 총공세가 포스코 CEO를 정권 입맛에 맞는 사람으로 교체하려는 시도와 무관하지 않다고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여당은 2018년 최 회장이 내정됐을 때도 홍영표 당시 민주당 원내대표가 나서 “권오준 전 회장의 비리를 덮어줄 사람을 고른 것 아니냐”고 비판한 바 있다.
포스코 회장직은 이전에도 정권의 영향을 받아왔다. 역대 회장들은 연임에 성공하고도 정권이 바뀌면 임기 도중 물러났다. 전임자인 권오준 전 회장은 2017년 연임에 성공했으나 문재인 정부 출범 다음 해인 2018년에 중도사퇴했다. 그에 앞서 정준양 회장도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사퇴한 바 있다.
이에 정권마다 흔들리는 최고경영자의 입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최고경영자의 정책 방향이 꾸준히 이뤄지는 등 연속성이 있어야 기업이 발전한다”라며 “정권이 바뀌는 시점마다 사장이 교체된다면 기업 실적은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 실적이 악화되면 정치권은 또 기업에 책임을 묻는다”며 “정치권은 포스코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경영을 할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