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 양적완화 지속, 더 커지는 인플레 위험

입력 2021-03-19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기존 연 0.00∼0.25%로 묶고, 이 같은 제로(0)금리 정책을 2023년 말까지는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매달 1200억 달러 규모의 국채 및 주택저당증권(MBS) 등 자산 매입을 통한 양적완화도 지속하기로 했다.

Fed는 올해 미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작년 12월 예상했던 4.2%에서 6.5%로 높이고,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2.2%로 내다봤다. Fed의 인플레 목표는 2%다. 그러나 제롬 파월 Fed 의장은 물가상승률이 2%를 넘어도 당분간 용인하겠다고 말했다. 경기의 확실한 진전이 있기 전에는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시장의 우려가 컸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등 긴축정책도 아직 시기상조임을 분명히 했다.

조기 긴축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인플레 리스크를 줄임으로써 시장을 안심시키려는 강력한 신호로 보인다. 시장도 크게 환영했다. 이날 뉴욕 증권거래소의 다우지수는 33015.37로 마감해 0.58% 올랐다. 이 지수가 33000을 넘은 것은 사상 처음이다. 나스닥지수도 13525.20으로 전날보다 0.40% 상승했다. 긴축과 금리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된 데 따른 것이다. 뉴욕 증시와 상관성이 큰 한국 증시도 18일 코스피지수가 전날보다 0.61% 오른 3066.61에 장을 마쳤다.

그럼에도 인플레에 대한 걱정은 더 커지고 있다. 이를 반영한 미 국채금리가 상승 추세다. 글로벌 시장금리의 바로미터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17일 1.69%까지 치솟았다가 Fed의 기준금리 동결 발표 이후 1.64%대로 진정되긴 했다. 하지만 2월 초만 해도 1.09% 수준이었던 국채금리의 상승세가 뚜렷하다.

인플레는 이미 불가피하다. 지난 몇 년간 글로벌 불황에 따른 주요국들의 초저금리 정책과, 또 작년 덮쳐온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경기부양 및 양적완화로 돈이 엄청나게 풀려 있다.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원자재 가격도 급등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미국 Fed가 당분간 인플레를 용인한다는 입장인 데서 보듯, 각국 중앙은행들이 적극적인 인플레 방어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

경기가 빠른 시일 내에 살아나지 않는 상태에서 인플레로 인한 금리와 물가상승이 겹치면 자산가치 하락, 이자부담 증대, 실질소득 감소 등으로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은 불보듯 뻔하다. 금융시장에도 충격을 가져올 요인이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 미 국채금리 상승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을 우려했다. 한국은행도 이번 Fed의 금리동결이 시장의 예상과 부합하지만, 국내 금융·외환시장 불안이 커질 위험이 높다고 진단했다. 인플레로 인한 금융시장 리스크와 실물경제 충격을 최소화하는 대책에 만전을 기해야 할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