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가 최근 국내에서 고조되고 있는 반중(反中) 감정에 기름을 부었다. 방송 1회 만에 역사 왜곡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면서 시청률이 뚝 떨어진 것은 물론, 광고주들까지 손절에 나선 것. 급기야 청와대 국민청원에 방영 중지를 요청하는 글까지 올라왔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SBS 측은 결방까지 불사하며 드라마를 재정비하겠다고 밝혔으나, 시청자들의 불만이 잦아들지는 미지수다.
‘조선구마사’는 조선 태종 시대를 배경으로 한 판타지 사극으로, 얼마 전 인기리에 종영한 tvN 주말드라마 ‘철인왕후’의 박계옥 작가가 극본을 썼다. 인간의 욕망을 이용해 조선을 집어삼키려는 악령과 백성을 지키기 위해 이에 맞서는 인간들의 혈투가 주된 내용이다.
논란의 중심은 역사 왜곡이다. 드라마는 오프닝에 자막으로 ‘본 드라마의 인물, 사건, 구체적인 시기 등은 역사적 사실과 무관하며 창작에 의한 허구임을 알려드립니다”라는 안내 문구를 넣었으나, 실제 역사 속 인물과 사건을 그대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역사 왜곡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22일 첫 방송 분에서는 태종의 아들인 충녕대군(세종대왕)이 술집에서 구마 사제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서 문제는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하면서 대접한 음식이 월병과 만두, 피단(오리알을 삭힌 요리) 등 모두 중국식이라는 것이다. 여기다 정체불명의 의상과 소품, 배경음악 등도 중국 색이 짙어 시대적 고증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이뿐 아니라 태종이 아버지인 태조의 환영을 보고 백성을 무참히 살해하는 장면을 내보내 조선건국사를 왜곡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비난의 화살은 극본을 집필한 박계옥 작가로 향하고 있다. 박 작가는 전작 ‘철인왕후’에서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자 국보인 조선왕조실록을 ‘한낱 지라시’라고 일컫는 대사 등으로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여기다 박 작가가 최근 중국 제작사인 쟈핑픽처스와 집필 계약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비판의 목소리는 더 커졌다.
최근 중국의 도를 넘는 문화 동북공정으로 우리 국민의 반중 정서가 커지고 있다. 중국 언론과 유튜버들이 김치의 원조가 중국 파오차이라고 주장하며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어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자신의 SNS 계정에 느닷없이 김치 담그는 장면을 올렸고, 인플루언서들을 통해 퍼트리기까지 했다.
이런 가운데 tvN 주말드라마 ‘빈센조’에서 주인공들이 중국 기업의 간접광고(PPL)용 비빔밥을 먹는 장면이 나오면서 tvN 측은 물론 해당 제품의 국내 유통사까지 곤욕을 치렀다. 그런데도 ‘조선구마사’에서 중국식 소품으로 또 논란을 빚자 드라마 속 중국 색에 대한 시청자의 반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에는 25일까지 3000여 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됐고, 방영 중단을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등장했다. 삼성전자와 에이스침대, 코지마 등 ‘조선구마사’에 광고를 했던 기업들도 광고나 제작 지원을 줄줄이 철회했다.
결국 ‘조선구마사’ 측은 “문제가 된 장면을 모두 삭제하고, 다음 주 결방을 통해 드라마를 재정비하겠다”고 밝히고, “순수 국내 자본으로 제작된 드라마”라며 중국 자본 투입 의혹에 선을 그었다.
한국 홍보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최근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중국의 문화 공정은 ‘한류에 대한 견제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서 교수는 “서양의 관점에서 ‘아시아 문화’를 떠올리면 예전에는 중국을 꼽았는데 최근에는 K팝·K드라마 등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아시아권 트렌드를 한국이 주도하는 양상에 위기감을 느끼고 견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치에 관한 문화공정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시대에 김치가 면역력 강화로 인기몰이하고 있는데 이럴 때 김치를 중국 음식이라고 주장하고 중국산 김치를 세계에 수출해 더욱 많은 이윤을 획득하고자 하는 경제적인 꼼수도 보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