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사실상 같은 시기 미국에선 한·미·일 3자 안보실장회의, 중국에선 한·중 외교장관회담이 열려 어떠한 메시지가 나올지 주목된다.
최근 미국과 중국이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충돌한 뒤 이뤄지는 외교안보라인 고위급 회동이다. 시차를 고려하면 거의 비슷한 시각 진행될 예정인데, 한국이 곤혹스러운 입장에 처할 우려도 나온다.
청와대는 31일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기타무리 시게루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가 내달 2일(현지 시각) 개최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서 실장은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 한·미·일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했다. 정의용 장관은 내달 3일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 겸 국무위원과 취임 이후 처음으로 만나 외교장관 회담을 한다.
미·중관계가 공통 의제로 논의된다.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양자 협력과 북핵 문제는 물론 미·중관계 등이 거론된다. 한·미·일 안보실장회의에서도 북핵 문제 대응은 비롯해 중국을 겨냥한 협력 방안이 협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속내가 복잡해진 까닭으로는 참가국 구성상 미·중관계와 관련해 두 회의에서 상반된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 때문이다.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중국은 미국의 대중 압박에 문제를 제기하며 한국이 미국과 밀착하는 상황을 견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미·일 3자 안보실장회의에서 미, 일은 한국에 대중 압박에 더 적극적으로 함께할 것을 촉구할 모양새다. 미국 바이든 정부는 더욱이 한·미·일 3각 공조를 내세워 중국을 견제하는 형국이다. 반면 중국은 ‘약한 고리’인 한국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왕이 부장의 정 장관 초청이 블링컨 방한 전에 이뤄졌음에도 블링컨 장관이 다녀가자마자 방중이 이뤄져 마치 중국이 정 장관을 불러 경고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도 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외교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가운데, 미·중 갈등이 북핵 문제까지 영향을 미칠지 우려하고 있다. 북한을 다시 대화의 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선 미국과 중국의 역할이 결정적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