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 1위 중국, 기존 공약 유지하며 선진국 책임 강조
3위 인도 역시 입장 유지...미국에 재정 지원 요구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날 기후변화 정상회의 첫날 세션이 마무리됐다. 참석한 40개국 정상들은 2050년까지 순탄소배출을 ‘제로(0)’로 하는 탄소 중립 목표를 재확인했고, 상당수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줄줄이 상향했다.
우선 이번 회의를 주최한 미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0~52% 감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2015년 파리기후협정 당시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가 “2025년까지 2005년 대비 26~28% 감축하겠다”고 발표한 것보다 2배 늘린 공약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앞으로 10년은 최악의 기후 위기를 피하고자 우리가 결정해야 한다”며 “결정적인 10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결정은 미국이 기후변화 리더십을 복원함과 동시에 중국을 비롯해 인도와 브라질 등 배출 상위권 국가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날 영국과 유럽연합(EU)도 2030년까지 배출량을 각각 68%, 55% 감축하기로 했다. 일본은 같은 기간 46% 감축하겠다고 밝혔고 캐나다는 40~45%를 제시했다.
정작 탄소 배출 세계 1위 중국은 기존 목표를 재확인하는 데 그쳤다. 중국은 2030년 탄소 배출량의 정점을 찍고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배출량 3위인 인도 역시 새로운 감축안을 발표하지 않고 2030년까지 450기가와트(GWh)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갖추겠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오히려 중국과 인도는 자국의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미국 등 선진국과는 책임 크기가 달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탄소 중립을 실현하려는 중국의 공약은 많은 선진국보다 매우 짧은 기간 다뤄졌다”며 “(현 목표에도)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과거에도 중국은 배출량 감축을 압박하는 미국과 유럽에 선진국의 책임이 더 크다고 맞섰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우리는 인도에서 역할을 다 하고 있다”며 현재의 노력이 최선임을 피력했다. 더불어 인도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선진국의 공공ㆍ민간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달 존 케리 미 대통령 기후특사가 인도를 방문했을 때도 인도 정부는 재정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인도 정부가 현 정책을 유지하면 탄소 배출량이 2040년까지 50%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의 로리 밀리비르타 수석 애널리스트는 “확실한 건 이들이 미국의 압박 하에 큰 규모의 발표를 원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중국 입장에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책임의 차이를 강조하는 게 중요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