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업계가 레미콘 믹서 트럭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출하량이 늘어났지만, 레미콘을 운반할 수단이 절대적으로 모자라 이를 원활히 공급하기 어렵단 주장이다. 따라서 트럭 수를 조절하는 수급조절 조치를 완화해야 한단 목소리가 업계를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3일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에 따르면 레미콘 중소기업 10곳 중 7곳 가량에서 출하능력 대비 보유·계약하고 있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레미콘 트럭)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는 이날 발표한 ‘레미콘 중소기업 믹서 트럭 수급조절 관련 의견조사’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부족하다는 응답이 83.1%로 높았다. ‘다소 부족(66.2%)’, ‘매우 부족(16.9%)’ 등이다.
레미콘 트럭이 부족한 정도는 매출액에 따라 달랐다. ‘5대 이하(47.7%)’, ‘6대~10대(39.3%)’, ‘11대~15대(10.3%)’ 순으로 조사됐는데,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레미콘 믹서 트럭이 ‘5대 이하’로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레미콘 업계는 레미콘 트럭 부족 문제의 배경이 건설기계 수급조절 제도에 있다고 분석한다. 건설기계 수급조절 제도는 2007년 건설기계관리법을 개정하면서 건설기계 임대시장 안정화와 영업용 건설기계의 공급 과잉을 막기 위해 처음 도입됐다.
법이 적용되는 건설기계 중 주요 기종은 레미콘 트럭, 불도저, 굴착기, 덤프트럭, 기중기 등 7개다. 이들은 2009년 8월부터 올해 7월 말까지 12년간 신규 등록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레미콘 출하량이 늘어도 이를 운반할 수단이 부족해 수급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단 지적이 나온다.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으로 레미콘 총 출하량은 1억4715만 ㎥다. 이를 수송하는 데 필요한 레미콘 믹서 트럭은 총 2만4526대지만, 업체가 보유한 레미콘 대수는 2만1419대로 총 3107대 부족하다. 성수기인 3~5월엔 운송수단 부족 현상이 더욱 심화하기도 한다.
레미콘 업계는 생산실적 대비 운반 수단이 절대 부족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레미콘 가격이 2009년 대비 10.50% 올랐지만, 레미콘 운반비는 68.64%나 인상하는 등 불균형이 심각하다”며 “올해는 주 40시간 근무까지 도입해 차량이 더욱 부족하고 공급 대란 등 경영 차질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업계는 레미콘 트럭의 수급조절 조치 완화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중기중앙회 조사에서도 응답 레미콘 중소기업 83.3%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답변은 16.7%에 그쳤다.
정부는 7월 중으로 건설기계 수급조절위원회를 열고 수급조절 대상 기종을 고시할 예정이다.
배조웅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2009년 이후 12년간 이어진 레미콘트럭 신규 차량등록 제한으로 운반비 급등 등 공급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며 “수급조절 해제 조치가 절실한 상황으로, 업계와 국토부 간 정례적 소통 창구 마련, 건설기계 수급조절위원회에 중소레미콘업계 위원 참여 등 업계 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현재 건설기계 수급조절 대상인 기종은 덤프트럭, 레미콘트럭, 콘크리트펌프 등 3개 기종”이라며 “전체 대비 영업용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지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와 관련해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7월 중으로 용역 조사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수급조절 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