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욱 산업부 기자
“두 번째 법정관리가 마음 아프다, 노조에 모든 책임이 전가되는 것이 쓰라리다는 말을 해주셨습니다”
정일권 쌍용자동차 노동조합 위원장은 시민들이 들려준 말을 떠올리며 감정에 북받친 듯 말을 잇지 못했다. 쌍용차 노조 임원진은 경기도 평택에서 국회의사당까지 3박 4일간 걸어오며 시민에게 회사의 어려운 상황을 알렸다. 내리는 비를 맞으며 정부 지원을 호소한 이들은 국회에 임직원과 시민의 탄원서 7000여 부를 전달했다.
노조의 주장은 명확했다. 노사가 협력해 선제 고통 분담을 한 만큼,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지 말고 정부도 지원해달라는 거다. 대출 등 지원이 있으면 노조도 더 많은 고통을 분담할 각오가 돼 있다고도 했다.
실제로 쌍용차 노사는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써왔다. 2009년 ‘무분규 선언’을 한 뒤 지금까지 파업하지 않았고, 매년 임금협상도 신속히 끝냈다. 20여 개 복지 혜택을 줄였고 임원 수도 절반으로 감축했다. 올해 들어 4월까지는 전 직원이 월급을 50%만 받았다. 최대 2년간 직원 절반을 무급휴직하는 추가 자구안도 계획 중이다.
마른 수건을 짜내는 와중에 사회적 책임까지 다했다. 쌍용차 노사와 정부는 2018년 9월 남은 해고 노동자 119명을 복직시키기로 합의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마힌드라 회장을 만나 해고자 복직에 관심을 가져달라 말한 지 두 달 만의 일이다. 당시 문 대통령은 “매우 기쁘고 감회가 깊다. 걱정이 많으셨을 국민께 희망의 소식이 됐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사회적 대타협’이라며 박수받았지만, 그 무게를 감당하는 건 오로지 쌍용차 노사의 몫이었다. 2018년에 이미 642억 원 수준이던 쌍용차의 영업손실은 2019년 2819억 원, 2020년 4494억 원으로 계속해서 불었다.
조건 없는 회생을 말할 생각은 없다. 기업의 생사는 존속 가치를 따져 결정할 일이다. 다만, 정부도 일정한 책임은 져야 하지 않을까. 사회적 대타협은 모든 주체의 희생과 협력을 전제로 한다. 노사는 많은 걸 내려놓았다. 이제 남은 건 정부의 관심과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