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당뇨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 글로벌 3상서 효과 확인

입력 2021-06-29 09: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심혈관∙신장질환 발생률 유의미한 감소

▲한미약품 본사 전경 (사진제공=한미약품)

한미약품의 장기지속형 바이오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가 4000명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대규모 임상에서 주요 심혈관계 질환(MACE) 발생률 및 신장질환 발생률을 유의미하게 줄인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미약품이 개발한 주 1회 제형의 GLP-1 수용체 작용제 ‘당뇨치료제’다. 2015년 사노피에 라이선스 아웃(지적 재산권이 있는 상품이나 재화의 판매를 다른 회사에 허가해 주는 제도)했지만 현재는 사노피가 권리를 반환해 한미약품이 권리를 갖고 있다.

한미약품은 사노피가 29일 미국당뇨병학회(AD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가 개최한 ‘에페글레나타이드를 위한 독립세션’에서 사노피가 글로벌 대규모 심혈관 임상 3상(AMPLITUDE-O)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Hertzel Gerstein 박사 등 8명의 연구자들이 8개 주제로 나눠 2시간 동안 진행됐다.

▲‘에페글레나타이드를 위한 독립세션’ 주요 발표자와 주제

AMPLITUDE-O 임상 3상은 28개국 344개 지역에서 제2형 당뇨환자 혹은 심혈관 질환 환자 4076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매주 에페글레나타이드 4mg 혹은 6mg 또는 위약이 투여됐다. 발표에 따르면 제2형 당뇨환자에서 4mg과 6mg 두 용량 단독 투여 시 심혈관 및 신장질환 발생 위험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위약 투여 군 대비 에페글레나타이드 투여 군에서 주요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은 27%[위험비(HR:Hazard Ratio 0.73) 95% 신뢰구간(CI:confidence interval 0.58 – 0.92)], 신장질환 발생률은 32%(HR 0.68, 95% CI 0.57 - 0.79) 감소하는 것이 확인됐다.

영국 글래스고대학교 나비드 사타 교수는 “이번 AMPLITUDE-O 임상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에페글레나타이드가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저위험 및 고위험군 환자에서 혈당, 혈압, 체중을 낮추는 가운데 주요 심혈관 및 신장질환의 발생률을 안전하게 감소시켰다”고 말했다.

한미약품 최고의학책임자 백승재 상무는 “권리 반환을 겪은 에페글레나타이드가 또 다른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마련했다고 생각한다”며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을 통해 입증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잠재력을 확대하고 구체화하는데 회사 역량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미약품은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환자 4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또 다른 글로벌 임상 3상(AMPLITUDE-M) 결과도 대표 연구자인 후안 프리아스 박사의 구연 발표로 소개했다.

이중 맹검으로 진행된 이 임상은 56주간 에페글레나타이드를 세 개 용량 투여군(2mg, 4mg, 6mg)으로 나눠 30주차엔 당화혈색소(HbA1c)를 1차 평가변수로, 56주 차엔 당화혈색소, 체중감소, 안전성 등을 위약 투여 군과 각각 비교했다.

연구 결과 제2형 당뇨환자에게 에페글레나타이드 투여 시 우수한 혈당조절 및 체중감소 효과가 확인됐으며 치료 효과 또한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또 치료 30주 차에 위약 대비 모든 용량에서 당화혈색소(HbA1c)가 통계적으로 우월한 개선을 보였다. 게다가 4mg, 6mg 투여 용량에서 유의미한 체중감소를 보였고 혈당조절과 체중감소 등 치료 효과는 56주간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부작용으로는 경미하거나 보통 정도의 설사와 메스꺼움이 있었다.

한미약품 권세창 대표이사는 “전 세계에서 시판 중인 대사질환 분야 치료제들은 장기 추적 관찰 시 심혈관계 질환 유발 가능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심혈관계 안전성은 약물의 글로벌 경쟁력을 배가하는 중요한 요인이다”라며 “대규모 임상에서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심혈관계 질환 안전성이 입증돼 한미약품은 또 다른 혁신 창출 및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에페글레나타이드 관련 논문은 이번 발표 직후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