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스마트팜 7000㏊ 조성 목표…청년ㆍ벤처농 키우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청년들의 귀농 결심 이유는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이 39.1%로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등의 정책적 유인과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 변화가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스마트팜은 온실·축사·노지 등에 첨단 디지털기술을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생육환경을 적절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이다. 작물 생산, 가축 사육 등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정 생육환경을 조성해 생산성은 높이고, 노동력은 줄일 수 있다.
한국농산업조사연구소에 따르면 스마트팜 도입으로 생산량은 32.1% 향상됐고, 반면 노동시간은 13.8%, 병해충 발생은 6.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17년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으로 스마트팜을 선정해 청년의 창농을 이끌어내고, 유망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국내 스마트팜 보급 면적은 2014년 405㏊에서 지난해 5383㏊로 급증했다. 올해까지 보급 목표는 7000㏊다. 스마트팜 활용은 앞으로도 많이 늘어날 전망이다. 그만큼 현장에서 큰 효과를 가져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스마트팜 도입 의향 조사에서는 시설채소 분야에서는 68.1%, 축산 60.0%, 노지채소 56.9%가 스마트팜을 도입하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청년창업보육센터에서는 청년농을 대상으로 20개월의 이론ㆍ실습교육을 진행하며, 우수 교육생에게는 스마트팜을 실제로 창업할 수 있도록 3년간 임대형 스마트팜을 제공한다.
보육센터의 교육 과정을 수료한 교육생은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임대농장 우선 입주, 스마트팜 청년 종합자금 대출 신청 자격 부여,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농신보) 보증비율 우대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1인당 최대 30억 원까지 스마트팜 청년 종합자금 대출신청 자격도 부여되며 농신보 보증률은 90%로 우대받을 수 있다.
실제로 청년들의 관심도 뜨겁다. 올해 농림축산식품부가 모집한 스마트팜 교육생의 경쟁률은 3대 1을 기록했다. 208명 정원에 625명이 지원했고, 교육신청자의 연령은 30.3세로 지난해 31.5세에서 1.2세 낮아졌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혁신밸리에 청년과 기업이 모이고, 첨단기술, 데이터, 노하우가 축적되면 스마트팜이 포도송이처럼 확산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혁신밸리 하반기 본격 시동 =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전국 4개 거점에 마련된다. 올해 하반기 가장 먼저 문을 여는 경북 상주를 비롯해 전북 김제, 경남 밀양, 전남 고흥 등이 내년까지 구축될 예정이다.
가장 먼저 운영을 시작하는 경북 상주는 총 1326억 원의 예산을 들여 42.7㏊ 규모로 조성된다. 토마토와 딸기, 오이, 포도, 멜론 등 스마트팜 주력품목 생산과 함께 플랜트 수출 거점화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농업용 로봇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
전북 김제에 907억 원 예산, 21.3㏊로 마련 중인 혁신밸리는 농촌진흥청, 종자산업진흥센터와 연계해 농생명 연구 특성화를 추진한다. 아스파라거스와 결구상추 등 기능성 식품과 품종 연구에 나선다. 아울러 ICT 기자재 개발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경남 밀양에 22.1㏊로 조성되는 혁신밸리에서는 현재 주력 수출 품목의 품종 다변화를 꾀한다. 딸기와 파프리카 등의 신품종 개발과 함께 해외 농업기술교육을 적용한 교육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나노 국가산단, 부산대학교 등과 연계해 에너지절감 기술 실증에 주력한다.
33.3㏊ 규모로 조성되는 전남 고흥 혁신밸리는 기후변화에 대비한 아열대 작물을 육성해 수입 대체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생산·육묘 단지를 조성하고,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를 활용한 유통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 (공동기획: 농림축산식품부ㆍ이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