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현 사장, 'K배터리 발전 전략 보고대회'서 투자 전력 발표
LG가 2030년까지 국내에 15조1000억 원을 투자해 대한민국을 글로벌 배터리 기술과 인재의 허브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8일 김종현 사장이 LG에너지솔루션 오창 2공장 부지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 전략 보고대회’에서 3대 핵심 과제를 포함한 국내 투자 전략을 발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종현 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배터리 수주잔고가 현재 180조 원을 돌파했다고 밝히며 차세대 배터리에서도 세계 1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국내 배터리 연구ㆍ개발(R&D)과 생산기술 삼각 허브 구축 △LG IBT 설립을 통한 배터리 전문 인력 육성 △소부장 업체 협력을 통한 밸류체인 강화 등 3대 핵심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LG는 앞으로 10년간 R&D 분야 9조7000억 원을 포함해 총 15조1000억 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8000여 개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투자는 한국을 배터리 R&D와 생산기술 메카로 육성하고 소재의 국산화를 가속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스마트 공장 구현을 위한 생산기술 확보 및 생산설비 증설 등에 12조4000억 원을 투자한다.
배터리 관련 첨단 소재 기술 개발과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에도 2조7000억 원을 투자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한국이 R&D와 생산 기술 허브가 돼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생산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오창, 대전, 수도권을 중심으로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삼각 허브’를 구축한다.
우선 LG에너지솔루션은 오창2공장을 스마트 공장 전초기지로 육성한다.
구체적으로 2023년까지 약 37만7000㎡ 부지에 차세대 제품 개발을 위한 파일럿 설비를 비롯해 스마트형 공장 차세대 설비를 구축한다.
여기서 축적한 공정 기술을 해외 생산기지에 전파할 방침이다.
2009년 전기차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양산한 오창 1공장은 현재 연간 17GWh(기가와트시)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현재 오창1공장 인력은 6700여 명으로 자동차 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 소형전지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오창1공장은 국내 수주 물량 생산과 함께 전체적인 글로벌 물량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
대전 R&D 캠퍼스는 고용량 사원계 양극재, 고용량 실리콘계 음극재 등 차세대 소재와 미래형 공정 혁신을 통한 제품의 차별화를 이끌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3년 말까지 대전에 연구동도 추가로 지을 계획이다.
마곡ㆍ과천 등 수도권 연구소는 리튬황ㆍ전고체 전지 등 차세대 전지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신사업 인큐베이션ㆍ오픈이노베이션 거점으로 활용해 스타트업과 협업 공간도 제공한다.
김종현 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삼각 허브의 유기적 운영으로 특허 등 지식재산권(IP) 확보를 늘리고 해외 생산기지에 핵심 기술을 전파할 것”이라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배터리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한국이 최고의 기술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이바지하겠다”라고 강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배터리 전문 인력을 조기 육성하기 위해 오창 2공장에 LG IBT(Institute of Battery Tech)를 설립한다.
전 세계 배터리 업체 중 전문교육기관을 신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관련 김종현 사장은 “우수 인재는 기술력의 근간”이라며 “차세대 배터리 전문 인력 육성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LG IBT는 오창 2공장에 지하 1층~지상 6층, 총면적 1만9500㎡ 규모로 지을 계획이다. 최대 4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23년 1월 준공이 목표다.
또한, 국내 소부장(소재ㆍ부품ㆍ장비) 업체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수출을 확대해 배터리 밸류 체인을 한층 더 강화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10년간 국내 소부장 업체와 지속 협력해 왔다. 이를 통해 최근 3년간 국산화 비율을 소재 43%, 부품 72%, 장비 87%까지 확대했다.
김 사장은 “현재 에너지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고 전례 없이 급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의 오늘은 미래 먹거리 주도권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며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선도해 K배터리의 위상을 지킬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