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 '하투' 분수령…결판 시점 다가온다

입력 2021-07-15 14: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차, 20일까지 집중 교섭…한국지엠, 쟁의권 확보 앞둬

▲현대차 노사가 7월 15일 2021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속노조 현대차 지부)

자동차 업계의 ‘하투(夏鬪)’가 분수령을 맞았다. 현대자동차 노사는 집중교섭을 통해 막판 줄다리기에 나섰고, 기아 노조는 현대차와 함께 투쟁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며 사 측에 구체적인 제시안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지엠(GM) 노조도 회사의 임금 인상안에 반발하며 쟁의권 확보를 앞두고 있다.

15일 노동계에 따르면 교섭에 복귀한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는 20일까지를 집중교섭 기간으로 설정했다. 이미 쟁의권을 확보했지만, 파업 대신 교섭을 우선 이어가기로 한 것이다. 노사는 8월 초로 예정된 여름 휴가 이전에 교섭을 마무리할 계획인데, 이를 위해선 이번 주 내로 잠정 합의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만 조합원 대상 찬반투표와 최종 조인 절차를 밟을 시간적 여유가 생긴다.

노조는 “이번 주 집중교섭에서 사 측의 의지를 확인하고 여지가 없다고 판단되면 강력한 쟁의지침으로 투쟁을 벌여나갈 것”이라며 “휴가 이후 새로운 투쟁을 위해 전열을 가다듬을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 노사는 15~16일 연이어 교섭을 열고 이견을 좁혀나갈 예정이다. 단체협약 개정안과 미래 협약, 해고자 복직, 정년 연장 등의 쟁점이 정리되면 노조는 임금과 성과금에 대해 2차 제시안을 일괄 요구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기본급 5만 원 인상 △성과금 100%+300만 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 원 △10만 원 상당의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의 내용을 담은 사 측의 1차 제시안에 반발하며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가 교섭에 앞서 투쟁 의지를 다지고 있다. (사진제공=금속노조 현대차 지부)

상대적으로 교섭을 늦게 시작한 금속노조 기아차 지부는 사 측에 구체적인 제시안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노조 집행부는 신규인원 충원과 전기차 핵심 부품의 국내 공장 유치를 강조하며 5일부터 서울 서초구 양재동 본사 앞에서 1인 시위에 돌입했다.

동시에 현대차 노조와의 연대 가능성도 내비쳤다. 노조 측은 “현대차 노조의 압도적인 파업 결의를 지지하고 함께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며 “정의선 회장은 현장의 민심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기아 노조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기본급을 동결한 만큼, 올해 교섭에서는 기본급을 9만9000원 인상하고 지난해 영업이익의 30%를 성과금으로 달라고 요구했다. 사 측은 “성과금을 고민하고 있다”라면서도 “회사의 지급능력을 고려하면 과한 요구다. 적정 수준의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라고 맞서고 있다.

▲기아 노사가 본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속노조 기아차지부)

금속노조 한국지엠 지부는 13일 사 측의 1차 제시안에 반발하며 교섭을 잠정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한국지엠 노조는 △임금 9만9000원 인상 △통상임금의 150% 성과금 지급 △코로나19 극복 격려금 400만 원 등을 요구했지만, 사 측은 △기본급 2만 원 인상 △격려금 350만 원 지급을 1차 제시안에 담았다.

노조 측은 “시시하고 보잘것없는 제시안”이라 혹평하며 “부평 2공장의 미래발전 제시안에도 알맹이가 없다. 1차 제시안은 모든 부분에서 수용이 불가하다”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곧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할 전망이라 향후 교섭에서 파업 등의 수단을 동원해 사 측을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조합원 76%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했고,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인천 부평구 한국지엠 부평공장에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이투데이DB)

지난해 교섭도 마무리 짓지 못한 르노삼성자동차 노조는 교섭 재개를 준비하고 있다. 노조는 다음 주를 집중 교섭 기간으로 정하고 교섭을 마무리 짓도록 할 계획이다. 교섭 이후에는 금속노조 체제 전환 논의도 다시 시작한다. 현재 르노삼성 대표노조는 기업노조 체제인데, 금속노조 산하로 들어가 투쟁력을 높이려는 시도다. 현 집행부는 2018년과 지난해에도 체재 전환을 시도했지만, 조합원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