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가만히 놔두었으면 성장경로와 국채 수급여건에 따라 시장금리의 흐름을 프라이싱해갔을 상황에서 한국은 행의 강한 시그널링이 들어왔다는 설명이다. 그리고 그 신호가 아닐 수도 있다는 희망 섞인 의구심을 시장참가자들이 계속 품고 있다는 점에서 상황은 꼬여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이 같은 상황전개에 한국은행의 책임이 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면서 “오히려 매파적정책스탠스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들이 주입되면서 통화당국 뿐만 아니라 시장참가자들의 혼선을 초래하고 있는 측면이 있을 수 있다. 이는 비단 국내에만 해당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도 연준과 시장간의 통화정책을 둘러싼 줄다리기가 지속하고 있다”면서 “연준은 현재는 인플레이션 부담이 일시적이지만 정책대응이 늦어질 경우 오버히트(Overheat)되는 상황을 두려워하고 있다. 반면 시장참가자들은 통화정책을 성급하게 긴축적으로 가져가면서 경기를 주저앉히는 오버스킬(Overkill)될 가능성에 대해 두려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을 포함한) 과열에 대한 우려를 다시 한번 가지치기해서 본다면 1) 과열이 발생할지 모른다는 생각과 2) 과열이 이미 발생하였기 때문에 대응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장은 1번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는 반면에 연준은 2번을 염두에 두고 있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진단과 대응이 갈릴 수 있는 지점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느 쪽이든 간에 통화정책과 연동된 단기 시장금리의 레벨 및 변동성은 장기금리의 그것에 비해 높을 수밖에 없다”면서 “단기물비중이 높은 신용채권은 그래서 아직은 불리한 여건에 놓여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