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김태경 해수부 어촌어항재생과장 "포스트 어촌뉴딜, 어촌 활성화 추진"

입력 2021-08-02 05:00수정 2021-08-02 13: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규제 샌드박스 허용된 농어촌민박과 어촌빈집 재생 연계 모색

최근 해양수산부의 주요 업무는 해수욕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대책, 어촌뉴딜300이다. 지난해 해수욕장에서 코로나19 확진자는 0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부터 어촌뉴딜300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4월 어촌뉴딜300 첫 성과로 삼시세끼로 유명한 전라남도 신안군 만재도에 접안시설이 준공돼 섬에 들어가기 위해 배를 갈아타지 않아도 된다.

해수부의 핵심 사업에는 어김 없이 김태경(사진) 서기관이 있다. 2004년 개봉한 영화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난다 홍반장’의 주인공처럼 해수부의 홍반장인 셈이다.

김태경 어촌어항재생과장을 지난달 29일 정부세종청사 사무실에서 만났다.

김 과장은 지난해 말 출범한 어촌어항재생사업기획단에서 어촌어항재생과장으로 어촌뉴딜300을 책임지고 있다. 지난해는 해양레저관광과장으로 해수욕장 코로나 방역을 챙겼다.

김 과장의 요즘 고민은 어촌뉴딜300의 성과와 포스트 어촌뉴딜이다. 김 과장은 “요즘 당면한 문제로 어촌소멸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며 “지금까지 어촌뉴딜은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정비가 중점이었지만 그 안에 들어가서 뭔가를 하려면 마을 내에 어떤 건물이 들어서도 운영할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로컬에 관심이 많은 청년들을 불러모아 사업을 하면 지속성을 가질 수 있고 어촌뉴딜 사업이 유휴 시설화되지 않도록 운영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과장은 그 대안으로 지역에 관심이 많은 청년들과 어촌에서 함께 다양한 사업을 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아울러 규제 샌드박스로 진행하고 있는 농어촌 민박사업을 어촌의 빈집 재생과 연계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김 과장은 어촌뉴딜300을 추진하면서 어려운 점으로 계획과 실제가 다를 때를 꼽았다.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사업을 가지고 사업계획을 짜서 평가받고 선정했는데 실제 들어가 보면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관련해서 민원처럼 올라오는 게 있는데 조율하는 것도 실무적이지만 어렵다고 했다.

지자체에 어촌뉴딜 전담조직이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위탁자가 중간에서 얼마나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잘 진행될 수도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촌뉴딜300을 전담하고 있지만 김 과장의 고향은 바다가 없는 충북 진천이다. 지난해 해수욕장 코로나 대책을 만들 때도 처음에 김 과장은 해수욕장에서 거리두기가 왜 필요한지도 몰랐다고 했다. 바다를 별로 안 가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젊은 직원들이 해수욕장에서 술을 마시다 보면 무리가 커지고 마스크를 안 쓰는 경우가 많다고 해 솔직히 충격을 받았단다. 그러면서 그런 것을 줄여야 방역 효과가 있다는 걸 깨달았다고 한다. 김 과장은 “작년부터 해수욕장 예약제를 했는데 예약한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보니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한다는 게 보여서 안심이 된다고 했다”며 “그래서 올해 해수욕장 예약제를 확대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면서도 민간기업은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했다. 당시 백지연 아나운서가 화제가 되고 책도 냈다. 그래서 김 과장도 한때 아나운서가 되면 멋질 것 같고 좋아 보여 아나운서를 생각하기도 했지만 결국 행정고시를 보고 공무원이 됐다. 김 과장은 “큰 그림을 그리고 정책을 만드는 걸 해보고 싶었다”고 했다. 그가 희망했던대로 좋은 정책을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하길 빌어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