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외교정책의 새로운 도전될 듯
북한이 지난달 초 이후 영변의 핵시설을 재가동했다는 분석이 나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7월 초부터 원자로에서 냉각수 방출 등 여러 징후가 있다”고 보도했다. 영변 원자로는 지난 2018년 12월부터 지난달까지는 가동이 중단됐던 것으로 보인다.
IAEA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다는 징후는 북한이 이전에 원자로에서 제거된 사용후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분리하기 위해 인근 실험실을 사용하고 있는 사실과도 일치한다고 WSJ는 전했다.
브랜다이스 대학의 중동연구학 크라운센터 개리 새모어 소장은 “이는 북한이 핵무기용 플루토늄 생산을 재개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면서 “북한은 이미 상당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의 무기고를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 소자이자 북한 핵 프로그램 전문가인 지그프리트 헤커 박사는 북한이 플루토늄과 고농축 우라늄을 이용한 핵무기가 20~60개 정도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당 보고서는 위성 사진 등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해 작성된 것이다. 북핵 감시를 위해 북한에 머물던 IAEA 사찰단은 2009년 4월 북한에서 추방된 후 북한 핵 시설에 직접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는 WSJ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으며 조 바이든 행정부 역시 논평 요청에 즉답하지 않았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올해 초 취임 이후 핵무기 프로그램과 관련해 북한 정부와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으나 북한은 이 같은 제안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에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로 인해 북한과의 협상과 이란의 핵 합의 복원 협상 등의 바이든 행정부 외교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다고 WSJ은 전했다. 미 국무부 출신이자 현재 미 싱크탱크 워싱턴 스팀슨 센터의 조엘 위트는 “영변에서의 활동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무시할 수 없으며 바이든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함을 보여준다”고 했다.
WSJ도 북한의 영변 원자로 재가동이 교착 상태에 있는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과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 등과 함께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 정책 등에 새로운 도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