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공급량의 7%가 말레이시아 거쳐
코로나 확산 베트남도 반도체 산업 외국인 투자 늘어
인구 3200만 명의 말레이시아는 누적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60만 명을 넘어섰다. 누적 사망자 수는 1만5000명에 달하는데, 이중 절반 이상이 올해 여름에 사망했다.
말레이시아는 스마트폰과 자동차 엔진, 의료기기 등을 제어하는 반도체 조립과 품질 테스트 등 노동집약적 공정이 이뤄지고 있어 주요 허브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공급량의 7%가 말레이시아를 거친다. 특히 미국은 말레이시아 반도체 직접 수입량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다. 하지만 델타 변이 확산으로 관련 공장들이 가동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6월 1일 델타 변이 확산과 그에 따른 의료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전국 봉쇄령을 내리면서도 글로벌 반도체 공급 우려를 의식한 듯 전자업체를 필수 업종으로 지정해 공장 가동률을 60%까지 허용했다. 이후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차츰 높아지면서 말레이시아 전역의 반도체 관련 공장이 점차 정상화되고는 있으나 폭발적인 수요가 생산량을 압도하고 있다고 WSJ는 지적했다.
이미 말레이시아발(發) 공급망 혼란 현상은 현실화되고 있다. 포드가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와 독일 쾰른 공장 가동을 일주일간 중단했고, 일본 도요타는 내달까지 글로벌 생산 목표를 당초 예상대비 40% 낮춰 잡았고, 제너럴모터스(GM)는 올해 하반기 북미에서만 10만 대를 감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말레이시아 백신 접종률이 크게 높아질 때까지 향후 2~3개 분기 반도체 생산량이 고르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불확실성이 올해 하반기에는 해소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와 달리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도체 생산에 직접 투입되는 인력뿐만 아니라 트럭 운전사, 공장 청소 근로자 등 관련 종사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언제든지 공장 가동이 중단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접종 완료율은 45% 미만이다.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초기 코로나19 통제에 비교적 성공했던 베트남도 최근 호찌민시를 중심으로 연일 1만 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일 사망자도 300명에 달한다. 베트남은 말레이시아만큼은 아니지만, 최근 반도체 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는 국가로 손꼽힌다. 인텔은 10년 전 호찌민시에 10억 달러(약 1조1600억 원) 규모의 공장을 세웠는데 올해 1월 4억7500만 달러를 추가로 투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