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금리 올리고 우대금리 내려
주담대 고정금리 하단 0.35%P↑
은행채 5년물 금리 인상폭의 4배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7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2.961~4.52%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2주 전인 3일(2.80~4.30%)과 비교해 최저, 최고금리가 각각 0.161%포인트, 0.22%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변동금리가 아닌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82~4.441%에서 3.17~4.67%로 상승했다. 하단과 상단에서 0.35%포인트, 0.229%포인트 오른 셈이다.
하지만 지난 14일간 신규 코픽스는 불과 0.95%에서 1.02%로 0.07%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지표금리로 코픽스를 활용하는데, 이와 비슷하게 대출금리가 움직이지 않은 것이다. 이번 대출금리 상승을 지표금리 상승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대목이다.
신용대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난 17일 3.10~4.18% 금리(1등급·1년)가 적용된다. 3일(3.00~4.05)보다 상·하단이 모두 0.1%포인트 남짓 뛰었다.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고정금리는 주로 은행채 5년물 등 금융채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3일 1.939%에서 17일 현재 2.029%로 2주일 새 0.09%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이 기간 실제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하단 인상폭은 거의 4배인 0.35%포인트에 이른다.
결국 은행들이 지표금리에 자체 판단으로 가산금리를 더 올렸거나 우대금리를 줄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최근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줄이라고 압박하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부동산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 등을 우려하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조이라’고 강하게 압박하는 만큼, 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가산금리 인상, 우대금리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게 은행들의 설명이다.
대표적 사례로 KB국민은행의 경우 불과 약 열흘 사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금리를 0.3%포인트나 올렸다. 앞서 3일 같은 종류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변동금리의 우대금리를 0.15%포인트 낮춘 데 이어 불과 13일만이다.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7%를 넘어 일찌감치 지난달 24일부터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신규 담보대출을 전면 중단한 농협도 같은 16일부터 신용대출의 우대금리, 주택 외 부동산담보 가계대출의 만기 연장 때 적용하는 우대금리까지 모두 0.2%포인트 낮췄다. 결과적으로 대출금리가 0.2%포인트 오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