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이정미 맞대결…12일 최종결과
"새로운 인물로 정의당 변화 보여줘야"
핵심 공약에 '돌봄 국가' 비전 제시
"'참여소득'으로 전 국민 일자리 보장"
정의당 대선주자인 이정미 전 대표가 8일 서울 영등포구 캠프 사무실에서 이투데이와 만나 결선을 다지며 강조한 말이다. 리더십과 변화를 위해선 "새로운 인물이 변화를 얘기해야 믿음도 기대감도 극대화된다"는 것이다. 그는 '이정미 선택'은 곧 변화의 문을 여는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정의당 대선후보 선출 결과(1차)가 발표되자 현장에 있던 참석자들은 놀란 기색이 역력했다. 심상정 의원은 총 1만1828표 중 5433표(46.4%)로 1위에 올랐지만, 과반 득표에 실패한 것이다. 처음 대선에 도전한 이 전 대표가 득표율 37.9%로 선전을 하면서 결선을 치르게 됐다. 정의당은 두 후보의 결선 투표를 통해 12일 대선 후보를 최종 확정한다.
이 전 대표마저도 경선 결과 발표 직후 "이게 무슨 일입니까"라고 밝힌 만큼 스스로도 놀랐다. 이날 백브리핑장에선 이 전 대표를 향해 '여전히 득표율이 10%나 차이 난다'라는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그는 "제가 10% 부족한 게 아니라 변화의 열망이 50% 넘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고 답했다. 과반 득표를 올리지 못한 심상정 의원의 득표율을 역으로 계산해 '변화의 열망'으로 해석한 것이다. 그렇게 그는 정의당의 새로운 시작을 약속했다.
이 전 대표는 "누구나 생각할 때 '그냥 1차에서 심 후보가 과반이 아니라 압도적으로 당선될 거다' 이렇게 보셨던 것 같다. 그렇지만 이번 경선은 당 내부에 확실한 변화의 흐름이 형성됐다는 메시지를 줬다. 이제 정의당도 대통령 선거에서 다른 인물로 교체해 국민께 다른 모습을 더 많이 보여드려야 한다. 정의당은 인물 교체의 시작점에 들어섰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성찰'을 통한 변화를 거듭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출마 선언에서부터 일관성 있게 약속드린 건, 성찰하는 모습이다. 정의당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말을 하지 못했던 순간은 여전히 죄책감으로 남아있다. 변화는 진심 어린 성찰에서 나온다. 이제는 기득권 세력에 맞서 싸우기 위한 뚝심과 소신이 준비됐다"라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사회가 '외로움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작은 임대 아파트의 모든 공간을 비운 채 방 한 칸만을 사용하고, 식사는 1인 전용 식당에서 베트남 쌀국수를 혼자서 먹는,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의 장면은 낯설지가 않다. 그는 사회 곳곳에서 느낄 수 있는 '외로움'은 심리적인 요인보다 사회구조적인 문제에서 더 커질 수 있다고 본다. 그가 '돌봄 국가'를 내세운 이유다.
이 전 대표는 "이제는 국가와 공동체가 협력해 서로를 돌보는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 시혜적인 현물이나 현금 복지, 숫자와 통계에 의존한 복지국가는 불평등을 해결할 수 없다. 현금수당을 주고, 한 시설 안에서 사람들을 모아 보호해주기보다 사람들이 일정하게 자신의 생활 공간을 유지하면서 살아갈 기회가 더 필요하다. 힘들고 어려울 때 언제든지 편안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고 관계성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그러한 돌봄이 하나의 '권리'로 보장되는 사회로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이 전 대표는 이른바 '참여소득'으로 전 국민 일자리 보장제를 실현하겠다고 했다. 사회적 약자들도 실업 상태를 없애야 지역 공동체 안으로 들어올 수 있어서다. 이에 ‘로컬뉴딜’과 ‘돌봄뉴딜’, 두 개의 축을 중심에 두고 전국 읍면동에 3개씩의 돌봄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어 ‘돌봄센터’를 건립한다는 구상이다. 전국민일자리보장제 실현을 위해 340만 개의 관계돌봄, 기후돌봄 일자리를 만들겠다고도 했다.
아울러 돌봄국가의 이동권 보장과 친환경정책의 일환으로 '무상교통'을 약속했다. 그는 "교통은 시민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다. 하지만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시장에선 요금 인상이나 노선 폐지 등으로 소외계층과 지역이 생겨난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친환경 정책이자 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50년 전부터 무상대중교통을 도입하고 있다. 대상 지역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돌봄국가' 비전으로 무상교통을 하나의 기본권으로 보장하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