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D, OTT 등 비실시간 방송에 장애인방송 의무화
정부가 30%대 머무른 장애인용 TV 보급률을 끌어올리고 주문형 비디오(VOD),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등 비실시간 방송에 장애인방송을 의무화하는 등 소외계층을 위한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내놨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2일 국무회의에서 ‘소외계층을 위한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보고하고 발표식 행사를 통해 미디어 소외계층을 위한 포용과 혁신의 정책을 국민과 공유했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소외계층 미디어 접근성 제고 정책에 있어서 양적 성장을 이뤄왔으나 급속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비대면 사회구조의 변화를 담는 실질적인 사회 포용정책으로는 미국, 영국 등 주요국과 비교해 부족한 상황이라고 판단해 종합정책을 수립했다.
우선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을 실시간에서 비실시간까지, 지상파에서 일반PP(방송채널사용사업자)까지 확대하고, 장애 유형별ㆍ학년별 맞춤형 교육콘텐츠 제작도 확대한다. 수도권에 집중된 제작 기반을 전국 10개 시청자미디어센터로 확대해 지역사회의 장애인방송 활성화 및 장애 스타트업 육성을 지원한다.
현재 32.3%(2020년)에 머물러 있는 장애인용 TV 보급률을 2025년까지 50%로 높이고, 장애인 TV 보급 방식을 개선해 선택권을 확대한다. 자막 크기, 위치조정, 음성안내 등 장애인방송의 특화기능을 유료방송 셋톱에 탑재하는 기술 개발과 사업자도 추가한다.
일반 스마트TV에 탑재할 장애인 특화기능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유로운 선택권을 부여하고, 장애인ㆍ고령층 등 소외계층이 재난정보를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맞춤형(문자음성해설ㆍ수어ㆍ애니메이션 등) 재난정보 전달서비스도 개발한다.
이 밖에 장애인 인식개선 사회 홍보, 국제콘퍼런스 등 대국민 인식 제고, 한국수어방송 의무비율 상향(5%→7%) 및 비실시간 장애인방송 제공 의무화도 추진한다.
방통위는 앞으로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2025년까지 3단계로 차례로 추진하며 매년 추진실적 평가 및 다음 연도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해 차질 없이 수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