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빨리 폐지” vs 중국·인도 “당분간 사용”…각국, 대립 첨예
존슨 “올해 기후총회 엄청 힘들 것"
시진핑 불참 등 맥 빠진 회의될 듯
18일(현지시간) CNN방송에 따르면 미국의 석탄 화력 발전량은 7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이날 미국의 올해 석탄 화력 발전량이 전년 대비 22% 급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에서 석탄 화력 발전이 전년보다 늘어난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미국은 최근 6년 동안 기후 위기에 대한 우려와 풍부하고 저렴한 천연가스에 힘입어 석탄 소비를 줄여왔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는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 석탄의 경쟁력을 높이면서 최근 몇 달 새 역전됐다.
연초 텍사스주 한파와 유럽의 가스 가격 급등이 미국의 천연가스 가격을 밀어 올리면서 상대적으로 석탄 화력 발전이 인기를 끌게 된 것이다. EIA 보고서 역시 올해 석탄 화력 발전이 증가한 원인으로 ‘상당히 높은 천연가스 가격과 상대적으로 안정된 석탄 가격’을 꼽았다.
문제는 이러한 내용이 COP26 개막이 임박한 가운데 발표됐다는 것이다. 올해 COP26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 화력의 향후 방향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온난화 대책의 국제적 틀인 파리협정은 산업화 이전 대비 평균 기온이 섭씨 1.5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올해 COP26은 2030년 각국의 이산화탄소 삭감 목표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간판 정책으로 내걸고 나섰던 미국 정부 입장은 퍽 난감해졌다. 올해 출범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파리협정’에 복귀하는 등 도널드 트럼프 전 정권에 비해 기후 문제를 중시한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방향성과는 정반대의 결과가 COP26을 코앞에 두고 공개되면서 체면을 구기게 됐다.
아울러 총회를 앞두고 석탄 화력 발전 사용에 대해 세계 각국의 이견이 갈리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석탄 사용 증가가 어떠한 변수로 작용할지도 관심이 쏠리는 부분이다.
영국과 유럽연합(EU) 등 서구권 국가들은 석탄 화력 발전의 시급한 폐지나 가동 중단을 요구하고 있지만, 중국이나 인도는 당분간 사용을 유지하고 싶어 한다. 두 나라는 여전히 화석 연료에 경제 성장을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들은 탈산소의 중요성에는 동의하면서도 석탄 화력의 전면 폐지 주장에는 강하게 반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석탄 화력 발전을 둘러싼 각국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대통령 교체로 글로벌 탈(脫)탄소 흐름의 추진력이 될 것으로 기대됐던 미국이 발언권이 약해질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둔 듯, 이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COP26 협의가 극도로 힘들 것”이라며 “각국이 지구를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약속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 “우리는 2040년까지 전 세계, 선진국은 2030년까지 석탄에서 손을 떼기를 바라고 있다”며 “또 역사적으로 지금까지 배출국이 아니었던 국가들의 탄소 배출량 감축 지원을 위해 부유한 국가들이 연간 1000억 달러(약 118조 원)를 준비할 필요하가 있다”고 표명했다.
그러나 온실가스 최대 배출국인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올해 COP26에 불참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등 회의는 벌써 맥이 빠진 상태다. 자이르 보우소나르 브라질 대통령도 불참한다. 세계 3위 온실가스 배출국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참석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