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가 ‘깐부’ 정신을 강조하며 국내 창작자·네트워크 생태계와 파트너십을 이어가겠단 구상을 밝혔다. 하지만 망 사용료와 관련해서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내지 않는다”며 자체 시스템인 ‘오픈 커넥트(OCA)’를 통한 콘텐츠 제공 의사를 고수했다.
한국을 방문한 딘 가필드 넷플릭스 정책총괄 부사장은 4일 열린 ‘넷플릭스 미디어 오픈 토크’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가필드 부사장은 한국의 콘텐츠 제작 역량이 높다며 이를 위해 넷플릭스도 많은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이제 엔터테인먼트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로 빠르게 발돋움하고 있다”며 “넷플릭스 회원수보다 많은 전 세계 1억4200만 가구가 시청한 ‘오징어게임’은 한국에서 제작하고 촬영한 콘텐츠”라고 말했다.
하지만 망 사용료와 관련한 문제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가필드 부사장은 “넷플릭스가 한국 외 다른 나라에서 망 사용료를 내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며 “어느 나라에서도 (망 사용료를) 내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ISP와의 파트너십은 셋톱박스 비용 등 다른 사업적, 상업적 분야에서 이뤄진다”고 덧붙였다.
또한 “망 사용료라는 개념을 다른 국가에서 고려한 적 있지만 이제 더 이상 관련 논의는 진행되지 않는다”며 “망 사용료가 산업을 축소시키고 반경쟁적이란 지적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대신 가필드 부사장은 대신 ‘윈윈’할 수 있는 파트너십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기술과 혁신에서도 선두주자이고 넷플릭스는 다양한 기술기업뿐만 아니라 LG유플러스, KT 등 인터넷 서비스사업자(ISP)와 협업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필드 부사장은 “OTT 사업자를 비롯해 한국 CP는 법적으로 망 사용료를 낼 의무가 없다. 다만 한국 ISP에 일정 비용을 지불하는 것은 협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며 “다른 현지 CP와 마찬가지로 넷플릭스도 ISP와 나름의 협업을 통해 관계를 맺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파트너십의 바탕은 망 사용료가 아닌 넷플릭스 자체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인 ‘OCA’다. 가필드 부사장은 “일부 콘텐츠 제공자(CP)는 CDN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만 우리는 자체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차원에서 1조 원가량을 투입해 OCA를 만들었다”며 “OCA를 통해 전 세계 많은 ISP가 지난 한 해 동안 1조4100억 원의 비용을 절감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전 세계 140여 개 국 1000여 개 이상의 ISP가 OCA를 사용하고 있고, 이런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생태계와 ISP가 윈윈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체 CDN 방식을 고수하면서도 가필드 부사장은 ISP가 OCA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냐는 질문에 “당연히 선택할 수 있다. 우리가 특정 회사에 이게 맞다고 말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고 답했다.
콘텐츠 제작사 등 한국 창작자들과 수익을 나누는 문제에 대해서도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가필드 부사장은 ‘오징어 게임’을 예로 들며 “이 시리즈를 만드는 데 함께한 많은 사람들과 수익을 어느정도 공유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창작자가 만들어낸 성공은 과거엔 예상하지 못한 것”이라며 “이런 성공을 어떻게 나눌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분배를) 진행할 지는 향후 결과가 나오면 공유하겠다”고 덧붙였다.
국회·정부를 연달아 만난 가필드 부사장은 관련 성과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다만 국회에서 논의 중인 망 사용료 관련 법제화 움직임에 대해서는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가필드 부사장은 “한국에 망 사용료와 관한 법이 존재하지 않았고 전 세계적으로도 그렇지만 그렇다고 법이 만들어져선 안 된다는 뜻은 아니다”며 “한국의 입법·사법 절차를 존중한다”고 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이 합리적 망 사용료에 관해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언급한 데 대해서도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더 겸손한 마음으로 스토리 텔링과 기술, 네트워크 생태계를 지속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