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예정 아파트 물량 감소에 기저효과 작용
지난달 국내 인구이동이 4년 만에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 예정 아파트 물량이 감소한 데다가 지난해 크게 증가한 인구이동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10월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이동자 수는 54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0.7%(6만4000명) 감소했다. 이는 2017년 10월(-14.2%) 이후 4년 만의 최대 감소 폭이다.
국내 이동자 수는 지난해 5월(0.0%)을 제외하면 작년 2월부터 증가세를 이어오다가 올해 1월(-2.2%)부터 10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를 기록했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인구가 고령화되면 인구 이동이 감소하는 게 장기적인 추세고, 지난해 인구 이동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기저 효과가 컸다"며 "8~9월 주택 매매량은 1년 전보다 2% 늘었지만, 9~10월 입주 예정 아파트가 지난해보다 24%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통상 인구이동은 주택 매매와 전·월세 거래 등에 영향을 받는다.
앞서 지난해 누계 인구 이동자 수는 773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8.9%(63만1000명) 증가했으며, 지난해 10월 인구 이동자 수도 60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1.7% 늘어났다.
10월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7.6%, 시도 간 이동자는 32.4%의 점유율을 보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시도 내 이동자는 13.2% 감소했고, 시도 간 이동자도 4.8% 감소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인구이동률은 12.4%로, 전년 같은 달보다 1.5%포인트(P) 줄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인천·세종 등 8개 시도에서는 순유입됐고, 서울·대구·부산 등 9개 시도는 순유출됐다. 이 중 서울의 순유출 폭은 9389명으로, 지역 중 가장 컸다. 서울은 지난해 3월부터 20개월째 순유출이 계속되고 있다. 대구(-1695명)와 부산(-1615명)도 순유출 폭이 큰 지역이었다.
탈서울화가 계속되고 있는 이유는 집값·전셋값 등 주거비 부담이 늘어난 탓에 서울살이가 힘들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가통계포털(KOSIS)의 국내인구 이동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341만4397명에 달하는 서울시민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매년 평균 56만9066명이 서울을 등진 셈이다.
반면 경기는 6525명의 인구가 순유입됐으며, 인천(3294명), 세종(1509명)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도의 경우, 통계청이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1970년부터 매년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꾸준히 순유입이 나타나고 있다.
시도별 순이동률은 세종이 4.8%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1.3%), 강원(1.1%) 등의 순으로 컸다. 반면, 서울(-1.2%), 대구(-0.8%), 울산(-0.8%) 등은 마이너스(-)의 순이동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