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상승 장기화 시 모든 경제주체에 악영향"
올해 3분기 원자재 수입가격이 4년 새 30%가량 상승하면서 제조업 생산비가 3.46% 증가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일 산업연구원은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의 배경과 국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관세청 통관통계와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올해 3분기 가스(원유), 금속광물(철광석), 비금속광물(구리 및 알루미늄) 등 3대 원자재 수입가격을 2017년과 비교해 생산비 변동을 추정했다.
그 결과 원유와 비철금속 가격이 각각 36.3%, 33.1%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철광석은 단순 비교하면 가격이 무려 147.3% 상승했으나 연구원은 철광석이 계약 시점과 인도 시점의 시차가 있어 가격이 후행하는 측면이 있다고 보고 30.3% 오른 것으로 추산했다.
이 같은 3대 원자재 가격 변동은 전 산업에서 2.28%, 제조업에서 3.46%의 생산비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추정됐다.
제조업종별로는 석유정제(13%), 1차 금속(6.45%), 비금속 광물(3.17%), 화학(2.9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제조업 중에선 전기·수도·가스 등을 포함하는 사회간접자본(SOC)의 생산비가 6.86%로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돼 가장 높았다.
금속 및 비금속광물의 생산비 증가폭은 원유에 비해 높지 않았다.
금속의 경우 전 산업은 0.29%, 제조업은 0.62% 생산비가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비금속광물은 전 산업에 걸쳐 0.02%, 제조업은 0.04%의 생산비 증가 요인이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2.28%의 생산비 증가 효과는 원자재 가격 상승 폭에 비해 작아 보일 수 있지만, 코로나19 발발 이전 생산자물가지수의 월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변동 폭이 -0.78%∼4.31%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파급력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쟁력이 낮은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이를 제품가격에 반영하지 못해 채산성이 악화되거나 가격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장기적으로 이어지면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해 모든 경제 주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