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탈출 글로벌 채권 투자자들, 한국·인도 등에 눈 돌려

입력 2022-01-25 15: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한국, 인도 등 채권시장 자본 유입, 중국은 유출
중국 부진 장기화 시 아시아 시장 피해 확산 지적도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달 7일 한 남성이 헝다그룹 홍보물 앞을 지나고 있다. 베이징/AP뉴시스
글로벌 채권 투자자들이 중국 부동산에서 빠져나와 피난처를 찾고 있다. 이들은 한국과 인도를 비롯해 더 다양한 아시아 채권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뉴욕멜론은행 데이터를 인용해 18일 기준 지난 3개월간 한국과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인도, 말레이시아, 일본 채권시장에서 자본이 유입된 반면 중국 시장은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최근 정책 지원으로 인한 부동산주 강세에도 모든 등급에서 중기 달러채에 유입된 자본이 올해 들어 3.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도가 1.5%로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이 늘어났고 한국은 0.8% 증가했다.

이스트스프링자산운용의 렁와이메이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투자자들은 중국 부동산에 대한 익스포저를 줄이기 위해 인도의 고수익 채권을 비롯해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숨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 역시 최근 아시아 하이일드 채권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골드만삭스와 크레디트사이트 등 주요 미국 투자은행들은 인도 회사채를 매력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매뉴라이프자산운용의 폴라 챈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인도 기업에서 많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공급이 이뤄지고 있고 종류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며 “인도 회사채는 다른 아시아 기업보다 비싸지 않기 때문에 우린 이 지역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요국 시장과 비교할 때 아시아 채권시장에는 여전히 많은 리스크가 있고, 투자 다각화를 원하는 투자자들의 수요로 인해 중국 외 아시아 시장의 신용평가가 더 엄격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게다가 중국 시장 위기가 장기화해 경기침체로 이어지면 아시아 전역에 파급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여전히 중국 채권이 전체 아시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투자자들이 아예 철수하기로 하면 시장 전체가 휘청거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골드만삭스는 앞으로도 중국에서 더 많은 디폴트(채무불이행)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롬바드오디에의 장 루이스 나카무라 아시아태평양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펀드매니저들은 환매 요청에 직면하면 모든 채권을 매각해야 한다”며 “아시아 채권시장의 간접적인 약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