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확진자 폭증에 재택치료 한계, 일상회복 멀다

입력 2022-02-07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설 연휴 이후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본격화하면서 확진자가 연일 급증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집계에서 6일(0시 기준) 확진자는 3만8691명으로 전날(3만6347명)보다 2344명 늘어났다. 주말에는 검사건수 감소로 확진자가 줄어드는 경향이었지만 그런 효과도 사라졌다. 국내 누적 확진자도 이날 100만 명(100만9688명)을 넘어섰다.

확진자의 폭발적인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른 확산속도다. 다만 전파력은 강하지만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 특성에 위중증 환자는 272명으로 전날(269명)과 차이가 없고, 중환자 병상가동률도 안정적이다. 사망자는 15명이 늘어 누적 6873명이 됐다.

문제는 정부의 대응체계인 재택치료가 벌써 한계상황이란 점이다. 재택관리는 오미크론의 무증상 및 경증 환자가 늘면서, 이들을 제외한 중환자 치료에 집중하고 의료체계를 정상화해 일상회복을 앞당기기 위한 것이다. 신규 확진자의 80∼90%는 재택환자로 전환된다.

재택환자는 지난 4일 10만 명을 넘었고, 5일 11만8032명, 6일에는 12만8716명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당초 재택환자 10만 명까지 감당할 수 있다고 했다.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다시 관리범위를 최대 16만3000명으로 넓혔다. 병원급 의료기관 의사 1명당 관리인원을 100명에서 150명으로 늘리고, 일선 병·의원의 환자 모니터링 횟수를 줄이는 방식을 통해서다.

재택진료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의 땜질처방이다. 전국의 재택의료 관리기관은 현재 532곳인데, 그곳이 어디인지 환자들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 동네 병·의원의 참여가 극히 저조하다. 정부의 일선 의료기관 협의 등 미리 준비가 안 된 탓이다. 재택치료가 사실상 경증 환자들의 ‘방치’ 수준이라는 지적도 많다. 그러다 보니 환자들에 대한 치료제 처방도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수만 명분의 치료제가 도입됐으나, 지난달 14일 이후 3일까지 화이자의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투약인원은 겨우 1275명분에 그친다.

정부는 현행 ‘6인 모임·밤 9시까지’의 거리두기 조치를 20일까지로 다시 2주일 연장했다. 불가피한 조치다. 그러면서도 오미크론의 낮은 중증화율을 감안해 “계절독감과 비슷한 방역·의료체계 전환을 검토한다”고 언급했다. 일상 회복으로 가겠다는 방향이다. 관건은 급격한 확진자 증가 추세에서 치명률을 낮출 수 있는 동네 병·의원 기반의 재택치료 시스템이 정상적이고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위증증 환자와 사망자가 더 늘지 않고, 중환자 치료의 대응에 문제가 없어야 일상 회복이 가능하다. 지금 확진자가 급증하는 추세부터 가라앉히는 것이 방역의 최우선 과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