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경제 성장구도와 역행...성장잠재력 약화 우려
규제 완화 등으로 비농업 일자리 늘려야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도 정부의 데이터를 인용해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이 발생한 첫해인 2020년 기준 인도의 총 고용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년보다 3%포인트 증가한 45.6%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고용 부문에서 농업 비중이 늘어난 것은 15년 만에 처음이다. 고용 시장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늘어났지만 정작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분에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처럼 농업 비중이 늘어난 것은 팬데믹으로 인한 이주 노동자들의 생활 비용 부담 증가가 꼽힌다. 생활비 감당이 어려워지게 되자 이주 노동자들이 도시를 등지고 귀향길에 오른 것이다. 반면 제조업 분야의 노동자들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아쇼카대학에 따르면 제조업 일자리는 최근 4년간 절반으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비농업 고용 부문에서의 인력 이탈이 인도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산토시 메흐로트라 전 인도 국가계획위원회 수석 위원은 WSJ에 “농촌 노동력 증가는 개발도상국이 원하는 그림과 반대”라면서 “인도 정부가 수백만 명의 노동자를 생산적인 비농업 일자리로 복귀시킬 수 없다면 성장에 장애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인도는 전체 인구의 3분의 2가 40세 미만일 정도로 두터운 젊은 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도시 이주 노동자들의 노동력에 힘입어 높은 경제성장률을 일궈냈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코로나19 직전까지 10년간 연평균 6.6%의 성장률을 기록해왔다. 하지만 팬데믹으로 전면 봉쇄령이 내려졌던 2020년 회계연도에 마이너스(-) 7.25%로 역성장했다.
컨설팅 업체 맥킨지글로벌인스티튜트는 최근 보고서를 내고 인도가 경제적 성장 잠재력을 실현하려면 2030년까지 건설과 제조업 등 비농업 일자리 9000만 개를 창출하고, 농촌에서 3000만 명의 근로자를 비농업 일자리로 끌어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에 미치지 못할 경우 10년 동안 경기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도시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 정부가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WSJ는 “인도 경제가 팬데믹 이전에도 둔화한 것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기업에 대한 과세와 규제 확대에 따른 것”이라며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의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