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자연감소 폭 확대…코로나 관련 사망자 증가도 원인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인구 문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혼인이 늦어지면서 출산율이 낮아지는 반면 사망률은 높아지면서 '인구 절벽'에 속도가 붙고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는 5만7300명 자연감소를 기록했다. 첫 자연감소가 나타난 2020년보다도 2만4700명 줄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는 2010년까지만 해도 20만 명을 넘었지만 2017년(7만2000명) 처음으로 10만 명 아래로 떨어졌고, 2018년(2만8000명), 2019년(7600명) 연이어 급감했다. 2020년(-3만2600명)에는 사상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 크로스'가 발생했다.
지난해 인구 1000명당 자연 증가를 나타내는 자연증가율은 전년보다 0.5명 줄어든 -1.1명을 기록했다. 자연증가율은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2020년(-0.6명) 이후 2년째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인구 자연감소 속도가 가팔라지고 있는 이유는 저출산 기조에 코로나19로 인해 혼인이 늦어지면서 출생아 수가 줄어든 반면 인구 고령화와 코로나 등으로 사망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해서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영향이 장기간 지속되는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의 합계출산율은 매년 감소해 2024년에는 0.57명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후 2025년에는 0.52명까지 떨어져 바닥을 찍고 이후로는 서서히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급감한 혼인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70년 출생아 수는 10만5000명, 사망자 수는 70만3000명을 기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자연감소 규모는 59만8000명으로 60만 명에 육박한다.
사망자 증가에는 코로나19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통계청이 작성한 '코로나19 시기 초과사망 분석(2022년 2월 11일 기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8~52주(2021년 11월28일~2022년 1월1일) 사망자 수(3만4954명)는 과거 3년 동일 주간 최대 사망자 수 대비 14.5% 증가했고, 전년 대비로는 16.3%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초과사망은 코로나19, 고령화 등 일정 기간에 통상 수준을 초과해 발생한 사망을 의미한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작년 12월에 특히 사망자 수 증가 폭이 컸는데, 사망 위험요인으로 코로나 감염증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작년 전체로 봐도 다른 해보다 사망자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와 코로나 이외의 원인으로 인한 사망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확정치가 나오는 9월이 돼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