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규제 완화 등 기업 경영 환경 개선 선행돼야"
7일 재계에 따르면 대선 이후 기업들이 새 정부와 발맞춰 챙겨야 할 주요 현안으로 '일자리 창출'이 꼽힌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기업을 옥죄는 법이나 규제 완화는 경제계의 공통 현안이 될 수 있지만 일자리의 경우 개별 기업에서 감당해야 하는 사안”이라며 “(대선 후보자 중) 누가 되든지 기업들의 일자리 방침에 변화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선거 막판까지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후보는 공약과 유세에서 30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고 있다. 2030의 표심을 잡기 위해 청년 일자리를 반드시 책임질 것이라고 선언했다. 윤 후보는 최근 부천의 한 유세장에서 "대통령이 되면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기업인을 업고 다니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경영계에선 신규 채용 숫자만 늘리는 일자리 확대 정책은 기업들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국내외 정세가 너무 불안정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경영적 판단을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각종 규제 완화 등 기업들의 경영 환경 개선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업 관계자들은 공식적인 발언을 아끼고 있지만 새 정부의 일자리 확대 요구가 자명한 만큼 대책 마련을 고심하는 눈치다. 일각에서는 채용 방식 마저 손봐야 하는 게 아니냐며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 4대 그룹 중 삼성을 제외한 현대차, SK, LG가 대졸 신입 사원을 수시로 뽑고 있다. 10대 그룹으로 범위를 넓히면 롯데, 포스코, GS가 삼성과 마찬가지로 상하반기 공채를 실시한다.
공채는 매년 회사가 일괄적으로 신입사원을 뽑은 후 부서별로 배치한다. 수시 채용은 사업부나 팀별로 필요할 때마다 공고를 내고 채용한다. 기업들은 필요한 만큼 인재를 적시에 뽑을 수 있다는 장점을 앞세워 수시채용을 선호하고 있다.
공채는 채용 인원을 사전에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지만 수시채용은 쉽지 않다. 정부로서는 기업들의 채용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공채가 정책 방향 설정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다만 정부가 민간 기업의 채용 방식까지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어느 정부나 집권 초기 기업에 대한 일자리 확대 압박이 강했다"며 "어떤 식으로든 요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