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수자원공사 매년 100억 원 상생지원금…KTX 구미역·공항철도 동구미역 신설 지원
30년간 이어져 온 대구와 구미의 식수원 갈등이 막을 내린다. 대구는 구미의 해평취수장에서 용수를 공급받는 대신 정부와 대구·경북은 구미와 상생발전사업을 추진한다.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는 4일 김부겸 국무총리 참석하에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이번 협정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지난해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의결함에 따라 후속조치로 '구미 해평취수장의 대구·경북 공동이용' 이행을 위해 마련됐다.
협정에 따라 구미 해평취수장은 하루 평균 30만 톤을 추가로 취수해 대구·경북 지역에 공급하게 된다. 우려했던 상수원 보호를 위한 구미시의 토지이용 제한 확대는 없고, 구미 지역의 상생발전사업에 정부와 각 기관이 적극 협력하도록 했다.
주요 상생방안으로는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구미시에 매년 100억 원의 상생지원금을 지원하고, 구미산단 입주업종 확대, 하수처리장 개선·증설에 나선다. 대구시는 일시금 100억 원을 지원하고, KTX 구미역과 공항철도 동구미역 신설에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경북도는 해평습지 생태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사업에 협력하고, 향후 공공기관 이전 시 구미에 우선 유치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김 총리는 "협정 체결에 참여한 기관이 힘을 모아 상생 발전방안이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협정 내용이 기관 간 합의된 이상 기관장이 바뀌더라도 변함이 없을 것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대구와 구미의 취수원 갈등은 길게는 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 이후 대구 시민들은 식수원 불안이 커졌다. 2009년 다이옥산 사고까지 발생하면서 대구시는 구미산단 아래에 있는 대구취수장 대신 취수원을 상류로 옮기겠다고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다.
이후 2012년 국토부에 상류에 있는 '구미 해평취수장을 사용하겠다'고 한 뒤 국토부는 2015년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대구시 취수원 구미 해평취수장 이전'을 포함시키면서 갈등이 본격화했다.
구미시는 수량이 줄어들고 수질이 나빠질 수 있다는 이유로 취수장 이전이 아닌 낙동강 수질 개선 사업을 먼저 해야 한다고 계속 맞서왔다.
김 총리는 "낙동강 상류 지역 물 문제는 지난 30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였다"며 "중앙과 지방이 함께 마련한 대안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지역주민들도 계시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더 활발하게 나서서 주민들과 소통하고 설명함으로써 이해와 동의를 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