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동향 및 과제’ 보고서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한국의 관련 기술 수준이 선진국 6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정부 차원에서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동향 및 과제’ 보고서를 통해 UAM 생태계 육성을 위해 정부의 투자 지원과 관련 규제 개선, 상용화 기반 마련 등 활성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UAM은 기체ㆍ부품, 이착륙시설, 운항서비스ㆍ관제, 교통연계플랫폼, 항공정비 등 도심항공 이동수단과 관련한 사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첨단기술이 집약된 친환경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평가된다.
UAM 활용분야는 화물운송, 승객운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소형기체를 활용한 화물운송은 시범사업이 진행 중인 반면, 승객운송은 기체 안전성 검증, 각국 정부의 인증 절차 등으로 아직 본격적인 사업 시작 전 단계다.
대부분 기업이 아직 기체 개발 단계지만 일부 기업들은 시험비행에 성공해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각국의 인증 절차가 마무리되면 상용화도 빨라질 것으로 보이는데, 나사(NASA)는 2028년∼2030년에는 수익 실현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에서 UAM 기체 개발 중인 기업은 미국 130개, 영국 25개, 독일 19개, 프랑스ㆍ일본 12개에 크게 못 미치는 4개(현대자동차, 대한항공, KAI, 한국항공우주연구원)뿐이다. 전 세계 기체 개발 기업(343개)의 1.2%에 불과하다.
아직 UAM 산업 형성 초기 단계지만 최근 한화시스템, 현대자동차 등 기술력을 보유한 대기업들이 SK텔레콤, KT 등 통신사, 인천 및 김포 공항 등과 컨소시엄을 구축해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투자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어 상황이 비관적이지만은 않다.
그러나 자율비행기술, 모터, 관제 등 우리나라 기업의 주요 분야 기술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의 60%∼70%에 불과해 기술 경쟁력 확보, 기업들의 참여 확대를 위해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UAM 산업은 다양한 전후방 연관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나, 산업 형성 초기 단계로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기술 경쟁력이 낮아 정부의 투자 지원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유 실장은 “우리가 기체 개발 등 항공분야 기술력은 약하지만 배터리, ICT 기술력 등 강점을 가진 분야 중심으로 글로벌 UAM 시장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수도권 비행제한 완화, 데이터 공유제한 완화 등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상용화 기반 마련 등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