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미국 IPEF, 공급망·무역투자처 확보 도구로 활용해야”

입력 2022-05-17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인도·태평양 지역, 미국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
참가국 확대, 미국 중간 선거 등 변수 될 가능성
"IPEF, 미·중 선택 강요 아니야…도구로 활용해야"

▲한국무역협회 로고. (연합뉴스)

미국의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가 바이든 대통령의 한·일 방문 이후 출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IPEF를 공급망과 무역투자처 확보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시사점: IPEF와 무역·투자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인도태평양 지역은 2020년 기준 세계 인구의 35.2%, 총생산(GDP)의 44.8%, 상품무역의 35.3%를 차지하는 중요 시장이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수출에서도 절반 수준인 47.1%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인·태 지역 전략은 오바바 행정부의 ‘아시아태평양’ 전략에서 시작해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이어 바이든 행정부까지 일관성 있게 추진됐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탈퇴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일본·호주·인도로 구성된 쿼드(QAUD)를 뉴질랜드와 베트남으로 더해 쿼드 플러스(QUAD+)로 확대하고, 아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 프로젝트를 연달아 제안하는 등 인·태 지역 관련 전략을 이어오고 있다.

인·태 지역은 공급망 안보 측면에서 미국에 중요성이 매우 크다. 미국이 전략품목으로 지정한 반도체의 경우 이미 협력체계가 갖춰져 있다. 미국(전(前) 공정), 한국(메모리 반도체 설계·생산), 대만(시스템 반도체 설계·생산), 일본(제조장비), 말레이시아(후(後) 공정) 등이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아세안(ASEAN)과 인도에서는 전자·전기 제조업의 가공 및 생산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다만 미국의 IPEF 추진에는 참가국 확대와 중간 선거를 앞둔 미국 내 반응이 변수가 될 수 있다.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의 참가가 확실시되고는 있으나 미국이 기대하는 수준의 전략적 가치를 지니려면 아세안 및 인도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일부 공화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IPEF에 대한 비판이 있어 11월 의회 선거 결과에 따라 동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그러나 보고서는 “공화당 정부도 인·태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부정하지 않는 데다 IPEF는 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무역협정이 아닌 행정협정으로 추진되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박선민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최근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신중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미국도 미·중간 선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고 밝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최근 공급망 및 물류 대란 속 안정성과 회복탄력성 있는 국가 간 협력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IPEF를 기업과 국가의 실익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