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수질 이상 징후를 통해 수질사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수질 취약지역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질정보분석 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시가 구축한 '수질정보분석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수질 이상 경보 기능만을 제공했던 기존 시스템에서, 감시ㆍ분석 기능을 대폭 강화한 방식이다. 단순 감시에서 선제적 관리로 수질관리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
이번에 구축한 시스템은 모든 행정동에 설치된 총 525개 수질자동측정기를 통해 1분마다 측정된 수질값과 다양한 민원·관로·공사정보 등을 종합 분석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결과 수질자동측정 값에 이상이 있거나, 급수구역별로 수질민원이 일주일에 2건 또는 월 4건 이상 등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중점관리대상으로 선정해 집중 관리한다. 필요에 따라 수도관 세척, 상수도관 교체 등 선제 조치도 이뤄진다.
실제로 4월 서울시가 시범 운영 중이던 서울 중랑구 중화동에서 발생한 수질민원과 관련해 현장 조사 및 조치에 채 1시간이 소요되지 않았다.
물이 탁하다는 민원이 2차례 반복해서 접수되자 시스템에서 알람이 울렸고, 수질관리부서는 해당 급수구역의 실시간 수질 측정값과 공사 정보를 확인해 수질 변화가 공사로 인한 것임을 즉시 파악했다. 공사 담당부서 직원이 현장에 출동해 관로에서 물을 빼냈고, 수질관리 부서와 함께 감시체계를 가동해 신속하게 조치했다.
시는 향후 정수장에서부터 수도꼭지까지 수돗물의 공급 경로를 추적해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원인 요소로 분석을 확대할 방침이다. 축적한 빅데이터를 수질 취약지역 예측과 '우선 관리 대상' 선정 작업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구아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고지역 예측 등 4차 산업 기술을 적극 활용해 수질관리 패러다임을 '선제적 예방 관리'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