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크래커]한국경제 환란(換亂)에 빠질까, 과거에서 본 환율 잔혹사

입력 2022-06-24 14:45수정 2022-07-06 17: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조현호 기자 hyunho@)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지선으로 여겨지는 1300원을 넘겼습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처음입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상황에 대해 글로벌 금융위기 또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와 같은 위기로 판단하기는 힘들다고 분석했습니다. 원화 가치의 급락을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기조 강화로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전문가들은 주요 통화 중 원화의 하락 폭은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외국인이 ‘셀 코리아’로 인한 수급 부담 영향 탓으로 풀이됩니다.

과거와 다른 환율 상승…관건은 3분기에

환율이 1300원을 터치한 건 1997년 말 외환위기와 일본의 제로 금리 정책 영향을 받은 2001~2002년,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2009년 등 총 3번이었습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환율 상승 이유에 대해 “국내 경제 펀더멘탈의 급격한 악화 혹은 붕괴라기보다는 미 연준의 긴축기조 강화와 더불어 수급여건 악화 탓”이라며 “즉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 및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박 연구원은 “(환율의) 1300원 터치가 국내 경제와 금융시장이 당장 위험국면에 빠졌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을 뜻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자료출처=하이투자증권)

정말 그럴까요? 답은 순대외금융자산과 단기 외채비율에 숨어있습니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2007년 3분기 국내 순대외금융자산은 -2160억 달러였으나 이는 점차 증가해 이번 1분기엔 696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단기 외채비율/대외채무 비중은 2007년 1분기 53%에서 1분기 26.7%로 하락했습니다. 금융위기 때와 달리 외화 유동성 흐름에 큰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증권가는 3분기가 중요한 분수령이라며 주목하고 있습니다. 환율이 추가 상승세를 보일 수도 있는 이유에서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에너지 혼란이 확산하고, 미 연준이 물가 압력에 대한 통제력을 잃으면 환율은 여기서 더 오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금리 인상의 파도가 우리나라까지 덮치며 가계, 기업 부채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에너지 급등으로 무역수지 적자 폭도 확대되죠. 박 연구원은 “환율의 추가 상승 여부는 신용리스크의 3분기 중 확산 혹은 진정 여부에 따라 결정될 공산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환율 상승으로 인한 대외 자본 유출? 기우일 뿐

환율이 오르면서 대외자본이 급격히 유출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자본 유출 가능성이 2014년 이후 점차 축소됐다는 연구가 나왔습니다. 지난달 최우진 KDI 경제전망실 연구원은 “대외불확실성이 100%포인트(P) 상승할 때 환율은 2013년 이전에 7.9%P 상승한 반면 2014년 이후에는 2.6%P 상승하는 데 그쳤다”며 “그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대외 불확실성이 100%P 상승할 때 자본 유출은 2013년 이전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3.0%P 증가했으나 2014년 이후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KDI 경제전망실)

최 연구원은 “기간별로 구분해 대외 불확실성 충격과 환율 및 자본 유출의 관계를 보면 2014년 이후 환율 상승 및 자본 유출 규모는 완만해졌다”며 “대외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외국인의 한국 채권 투자가 확대된 점도 전체 자본 순유출의 규모가 감소하는 데 기여했다”고 부연했습니다.

2014년에 무슨 일이 있었기 때문일까요? 2014년 한국은 대외 순자산국으로 전환됐습니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빌려주거나 투자한 돈을 모두 회수하더라도 남는 돈이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그동안 경상수지 흑자가 누적된 덕분입니다. 이는 대외 순자산국이 되면 채무 불이행에 대한 우려가 감소하고 대외 건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OO주에 주목하라

환율 상승기에 우리는 어떤 주에 주목해야 할까요? 과거 환율이 1200원을 넘어 추세적으로 상승했던 △2000년 10월~2002년 4월 △2007년 11월~2009년 2월 △2010년 5월 △2014년 9월~2016년 2월 △2018년 4월~2020년 4월 △2021년 1월~2022년 4월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2000년 10월~2002년 4월에는 소매, 유통, 보험, 자동차들이 수익률 상위 업종으로 랭크됐습니다. 이와 달리 소프트웨어, 유틸리티, 가전 등은 하위 종목에 올랐습니다. 2007년 11월~2009년 2월엔 소프트웨어, 통신, 반도체가 상승했고 조선과 건설, 기계는 하락했습니다. 2010년 5월엔 자동차, 화장품, 의류를 중심으로 상승했고 상사, 자본재, 조선 등을 중심으로 하락했습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환율 상승 국면에선 수출기업과 내수 비중이 아주 높은 경기방어산업의 성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기계, 건설, 조선 등 부채비율이 높은 중후장대 산업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결과가 공통적으로 확인된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6번의 사례 중에서 상승 탄력과 업종 승률은 서로 비례한다”며 “주가 상승 탄력이 강했던 업종은 하드웨어, 통신, 음식료, 자동차 등”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통신과 음식료는 실적보다 환율 상승 국면에서의 방어적 특성에 집중한 것으로 해석된다”고도 부연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