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차질, 비용 영향 더 크고… 생산 차질은 자동차 등 특정 산업에 집중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비용 상승으로 인한 물가 오름세가 심화하고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한국은행은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의 특징 및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BOK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생산을 일부 제약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투입비용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자동차, 건설, 기계장비 등 일부 산업에서 부품·자재 수급 차질로 생산이 제약됐다.
비용 측면에서는 원자재·중간재 가격 상승세가 광범위하게 확산하면서 대부분 산업에서 비용부담이 가중되고 채산성이 악화했다. 생산자물가의 공산품 가격 구성품목 중 5% 이상 상승한 품목 비중은 올해 들어 50%를 웃돌았고, 10% 이상 상승 품목도 40% 내외 수준이었다.
특히 에너지, 철강, 목재, 화학 등 최근 공급 차질이 커진 부문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화학, 건설, 기계 등 주요 산업에서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생산단가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줄어들거나 소폭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최근 공급 차질의 영향이 비용 측면에서 크게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실제로 국내 제조업 PMI를 보면 최근 생산의 감소 폭은 크지 않았지만 투입가격은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한은이 국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공급망 관련 어려움 가운데 물류난(36%), 원자재 가격상승(28%) 응답 비중이 높게 나타난 반면, 수급차질(12%) 응답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방역상황이 비교적 양호한 가운데 부품 내재화, 재고관리 노력 등으로 생산에 대한 영향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크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됐다.
모형을 이용한 추정에서도, 생산자물가의 경우 수요측면의 상방 압력이 지속하는 가운데 공급 충격의 영향이 연말·연초에 줄어들었다가 3월 이후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공급 차질 시기를 보면 팬데믹 초기에는 수요가 급감하면서 산업생산 감소와 생산자물가 하락을 주도했지만, 지난해 이후에는 공급 충격에도 불구하고 수요충격이 지속적으로 생산 증가와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은은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의 주요 특징으로 △비용압력 증대가 두드러진 점 △자동차 등 특정 부문에 생산 차질이 집중된 점 △교역구조에 따라 국가별로 영향이 차별화된 점 등을 꼽았다.
먼저 봉쇄조치가 중국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된 데다, 팬데믹 이후 기업들이 재고관리 노력 등으로 공급망 충격에 대한 대응력이 높아졌다. 그러나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에 따른 에너지·원자재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산업 전반에서 비용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생산 차질의 경우, 자동차 등 공급망 복잡성이 높거나 중간재 대체 가능성이 낮은 산업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
전쟁 및 봉쇄지역과의 교역 구조, 중간재 자급률 차이 등에 따라 국가별 영향의 정도도 달랐다. 유럽은 에너지·원자재의 러시아·중국 의존도가 높아 공급 차질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반면 에너지 순수출 국가인 미국은 영향이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한은은 “글로벌 공급망 상황과 국내 산업의 취약성을 면밀히 점검해 예상치 못한 충격에 사전 대비하는 한편 향후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