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사회 다방면의 규제 완화를 추진하면서 ‘대형마트 의무휴업 해제’ 방안을 온라인 국민 투표에 붙이기로 했다. 이에 유통업계의 오랜 숙원 사업이던 마트 의무휴업 폐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의무휴업이 해제될 경우 업체당 연간 최대 1조 원의 매출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2년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는 올해로 10년째를 맞는다.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대형마트는 월 2회 문을 닫고, 밤 12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영업을 할 수 없다. 대형마트는 점포를 이용한 새벽배송에도 나설 수 없고, 의무휴업일에는 일반배송조차 불가능하다.
이같은 규제에 대형마트는 완연한 하락세로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이후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소비자가 줄고 이커머스가 쇼핑 시장의 주도권을 쥐게 되면서 대형마트들은 매장 수를 줄이고 인력을 재배치하는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했다.
유통업태별 매출 규모에서 2019년까지만 해도 대형마트-백화점-편의점 순서가 유지됐지만, 지난해에는 백화점-편의점-대형마트순으로 바뀌었다. 지난해 소비시장 매출에서 대형마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15.7%로 2015년의 26.3%와 비교하면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점포 매출 뿐만 아니라 농·수·축산물 매입이 줄어들면서 농가 수입 역시 줄었다. 대형마트 3사의 신선식품 매출비중은 평균 33%에 달하는데 매입금액 기준으로 일요일 하루 국내 대형마트 400여 개 전 점포가 강제휴무할 경우 농·수·축산에서 하루에만 약 158억 원 가량의 매입 금액이 감소한다. 이를 1년으로 환산하면 약 3794억 원의 우리 농·수·축산물 매입이 감소하는 셈이다.
하지만 의무휴업 폐지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이날 증시에서는 롯데쇼핑 주가가 4.13%, 이마트는 8.33% 오르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됐다. 증권가 역시 만약 의무휴업 폐지가 현실화될 경우 큰 실적 상승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대신증권은 보고서에서 월 2회 의무휴업이 폐지될 경우 업계에 따르면 평균 기존점 성장률은 기존 전망치 1~2% 수준에서 7~8% 수준까지 크게 상승될 것으로 봤다. 휴일 매출액은 업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300억~400억 원 정도로 추산되는데 월 2회 의무휴업을 폐지하면 월간 600억~800억 원, 연간 약 7000억~1조 원의 매출 증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월 임차료 같은 고정비는 추가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카드 수수료, 인건비 소폭 증가분 등을 제외하고도 영업이익이 500억~1000억 원 이상 추가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최종 국회를 통과되고 2023년 1월1일부터 시행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마트는 2023년 영업이익 추정치가 기존 대비 20% 상향되고, 롯데쇼핑의 경우 2023년 영업이익 추정치가 기존 대비 11%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안타증권은 대형마트의 배송능력 향상에 주목했다. 의무휴업 해제로 휴일 배송이나 새벽배송이 가능해질 경우 연간 24일 추가 운영이 가능해지는 만큼 점포를 활용한 배송능력이 산술적으로 최대 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다 점포를 통한 새벽배송까지 시행할 경우 해당 점포의 하루 배송 능력은 약 30% 이상 증가할 수 있을것으로 내다봤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현재 대통령실이 국민제안 10건을 선정한 단계에 불과해 실제 시행까지 이어질 경우를 상정하는 것은 아직 섣부르다”면서도 “올해 하반기부터 소비 경기 침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형마트 사업자들의 손익이 개선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 점은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형마트들은 일제히 환영 입장을 내놨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유통업 규제는 지난 10년간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규제였고, 정작 가장 중요한 소비자 편익에 대한 배려가 배제돼왔다는 점이 가장 아쉬웠다”면서 “이제라도 소비자(국민)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겠다는 결정은 굉장히 고무적이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