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월 거래 중 신고가 비중, 용산 70%ㆍ서초 45% 등 평균치 상회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가 완연해지고 있지만 서울 서초구와 용산구 등 핵심지 아파트 신고가 행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발 이슈 등이 이어지는 용산구는 10건 중 7건이 신고가를 기록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침체 속에서도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는 여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과 호갱노노 통계를 이용해 8월과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물량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용산구 아파트 실거래 중 신고가 거래 비중은 70%에 달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집계 기준으로 지난 8~9월 용산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20건으로, 이 가운데 신고가 거래는 14건으로 파악됐다. 용산구 신고가 거래 비중은 서울 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1위다.
강남지역에서도 핵심지로 꼽히는 서초구와 강남구는 신고가 거래의 비중이 높았다. 서초구 신고가 거래는 같은 기간 총 40건 거래 중 18건으로 약 45% 수준이었고, 강남구는 83건 중 27건이 신고가로 집계돼 32.5%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 전체 평균을 놓고 보더라도 신고가 거래 비중이 29.8%(1212건 중 361건)로, 10건 중 3건은 신고가로 집계됐다.
이 밖에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가 속한 양천구는 이 기간 50건 거래 중 25건이 신고가로 파악돼 신고가 비중이 50%를 기록했고, 최근 동서울 터미널 보수사업과 중곡동 종합의료단지 개발에 속도를 내는 광진구는 전체 23건 거래 중 16건이 신고가로 파악돼 용산 못잖은 69.6%로 집계됐다.
반면 서울 외곽지역이나 최근 집값이 급등한 지역에선 신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노원구는 8월과 9월 두 달 동안 72건 거래 중 단 6건(8.3%)만 신고가에 팔렸다. 거래량 기준 영등포구(97건)와 강남구(83건) 다음으로 거래가 활발했지만, 대부분 하락 거래였던 셈이다. 또 동작구는 39건 중 5건(12.8%)만 신고가 거래였고, 성북구 역시 61건 중 신고가 거래는 11건(18%)에 그쳤다. 강남지역에선 강동구가 49건 중 8건(16.3%)만 신고가 거래돼 체면을 구겼다.
이렇듯 용산구나 서초구 등 서울 내 핵심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여전한 것은 진입 수요는 항상 많지만, 매물로 나오는 물량이 줄면서 집주인 우위 시장이 형성돼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일반 아파트와 달리 핵심지 단지는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는 고가 아파트인 만큼 기준 금리 인상에도 ‘무풍지대’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14일 서초구 서초동 현대슈퍼빌 전용면적 164㎡형은 지난해 11월 직전 신고가 27억5000만 원보다 2억5000만 원 상승한 30억 원에 신고가 거래됐다. 지난달 19일에는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전용 176㎡형이 직전 신고가보다 5억 원 더 오른 45억 원에 팔렸다. 또 용산구에선 이촌동 삼성리버스위트 전용 137㎡형이 지난 9일 이전 신고가보다 8억 원 튀어 오른 32억 원에 거래됐다. 모두 대출 금지선인 시가 15억 원을 훌쩍 넘긴 초고가 단지다.
연말까지 서울 주요 지역 신고가 행진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서초구 반포동 P공인 관계자는 “한강변 고가 아파트 매물 문의는 끊이지 않고, 집주인 역시 급매물이 아닌 이상 호가를 낮출 생각이 없다”며 “초고가 단지는 실거래 이후에도 최대한 늦게 신고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서초나 용산 일대 신고가 사례는 연말까지 계속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