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더 반응 대체로 ‘싸늘’…“바이백ㆍ유동화 관련 내용 미비”
거래소, DAXA 차원 논의 거쳐 내달 2주차 후속 조치 예정
위메이드가 ‘위믹스’의 투자 유의 종목 지정 사유에 대한 소명과 대응책을 내놨다. 하지만 홀더(투자자)들은 해명과 대응책이 미흡하다는 반응이다. 이에 업비트 등 거래소에서 한때 2000원 대를 회복했던 위믹스 가격은 다시 1800원대로 주저앉았다. 거래소들은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차원에서 관련 내용을 논의한 뒤 11월 2주차 중에 후속 조치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위메이드는 30일 오후 8시께 가상자산 위믹스의 유의 종목 지정 사유에 대한 소명과 대응책에 대해 공지했다. 위믹스는 지난 28일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투자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바 있다. 지정 사유는 △계획 유통량과 실제 유통량의 불일치 △유통량에 대한 명확한 공시 부족 등이다.
위믹스 측은 계획과 실제 유통량 간 불일치에 대해 “생태계 확장에 따른 추가적 유통 불가피했다”라면서 “공지와 보고서 등을 통해 알렸지만 부족했다”라고 해명했다. 또한, 명확한 공시가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디파이 예치 물량의 ‘유통량 포함 여부’에 대해서 거래소와 의견차를 확인했고, 이를 뒤늦게 코인마켓캡 업데이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대책도 함께 내놓았다. 우선은 재단 물량을 믿을 만한 제3의 커스터디(수탁)업체에 수탁할 계획이다. 전체 물량을 수탁하고, 그 과정을 거래소와도 공유해 유통량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공시 시스템을 개선해, 기간별 예상 유통량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사유와 물량을 미리 설명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향후 위믹스의 유통량을 늘리는 모든 행위에 대해서도 실행 전·계약 체결 직후 공시할 예정이다. 다만, 유사 사례로 꼽히는 무비블록(MBL)이 진행했던 바이백에 대한 내용은 빠졌다.
위메이드 관계자는 “공지사항을 통해 기본적인 소명을 진행했고, 앞으로도 유의 해제를 위해 지속적으로 소명해 나갈 방침”이라면서도, 바이백에 대한 부분은 말을 아꼈다.
홀더들은 회사의 대응책에 대체로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유의 종목 해제에서 쟁점으로 여겨지던 바이백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어, 정상화가 가능한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또 하나의 쟁점인 유동화와 관련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앞서 위메이드는 ‘위믹스 리저브 1’ 지갑에서 총 6400만 개의 위믹스 출금해, 이 중 3480만 개를 코코아파이낸스 디파이(탈중앙화금융) 풀에 담보로 맡기고 스테이블코인인 KSD를 대출받았다.
위메이드는 이를 ‘유동화’로 보지 않고, 이를 유통량에 포함하지 않다가 뒤늦게 포함했다. 이 때문에 급격한 시총 상승 및 계획·공지 내용과 실제 유통량의 불일치가 포착되면서 이번 사태가 촉발됐다.
‘유동화’가 아니라고 보는 일부 홀더들은 “시장에 팔지 않았지 때문에 유동화가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반면, 맞다고 보는 홀더들은 “유동화에 대해 위메이드만 생각이 다르다. 업계 상식선에서 벗어났다”라고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디파이에서는 과담보가 표준이라 담보 가치 이상으로 빌리는 것이 불가능해, 비교적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게 일반적”이라면서도, “코코아 파이낸스에 위믹스를 담보로 맡긴 뒤 (위믹스의) 가격이 떨어졌다는 점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당장은 담보로 맡긴 위믹스가 시장에 풀리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가격 하락이 청산으로 이어질 경우엔 유동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위믹스는 공지를 통해 “위믹스 팀이 24시간 모니터링하며 해당 담보가 청산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라고 밝힌 상황이다.
이제 홀더와 업계의 눈은 거래소와 DAXA로 향하고 있다. 거래소와 DAXA가 ‘위믹스 유의 종목 해제’의 키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국내 거래소들은 위믹스를 유의 종목으로 지정하며, 약 2주의 기간을 두고 위믹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유의 종목 지정 연장·해제 혹은 거래 지원 종료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공지한 바 있다.
국내 한 거래소 관계자는 “일반적인 거래지원, 유의 종목 지정 등은 각 거래소가 자체적으로 결정한다”라면서도 “이번 유의 종목 지정이 DAXA 차원에서 나온 결정인 만큼, DAXA 차원에서의 논의가 함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