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의 근심이 깊어간다. 원자잿값 인상에 따른 경영 부담과 친환경 사업에 대한 반발 그리고 화물연대 파업까지 설상가상이다.
지난 6월 화물연대 운송거부로 1061억 원의 매출 손실을 본 시멘트업계는 다시 떨고 있다. 장기화할 우려가 큰 화물연대 재파업과 안전운임제 연장으로 볼모로 잡혔다. 안전운임제로 3년간 시멘트업계가 부담한 물류비 증가분은 1200억 원이다. 전량 수입하는 시멘트 제조 연료인 유연탄값이 약 7배 오르는 등 원가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다시 운임제가 연장되면 견뎌낼 재간마저 없게 된다.
문제는 내년부터다. 한국시멘트협회는 경기침체로 내년 시멘트 수요가 약 5%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자연스레 수요 감소로 운송물량이 감소하면 운임수입도 줄어들게 된다. 업계는 화물연대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리라 판단했다. 시장 상황에 맞지 않은 각종 부대 조항과 할증요금을 붙여가며 추가 운임을 챙겨 온 전례를 사유로 들었다. 안전운임제가 연장되면 화물연대는 줄어든 수입 대신 다른 명목으로 수입을 보전받을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업계는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업계 1위 쌍용C&E의 경우 노조가 자발적으로 임금동결에 나섰다. 올 초 시멘트값이 인상과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복합 위기에 빠지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조가 총력 대응에 동참하겠다는 것이다. 직원들의 임금은 동결됐지만, 화물연대 운임은 회사 상황과 관련 없이 해마다 올려주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부닥쳤다.
예상할 수 없는 원자잿값 인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시멘트업계는 탄소중립을 피보팅 전략으로 삼았다. 온실가스 감축의 주요 수단 중 하나로 채택하는 순환자원 재활용을 꺼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일부 시민단체와 경쟁산업에선 ‘쓰레기시멘트’로 폄훼한다.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유사한 사례조차 찾아볼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신세로 전락한 시멘트업계는 난센스에 빠졌다. 건설 경기에 밀접한 국가기간산업 시멘트의 위기는 언제 완화될까. 이는 비단 시멘트업계만의 노력뿐만 아닌 국가 차원에서 정책적, 제도적 보완을 통한 여건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