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3000억원 규모 대출 보전
1000억원 우주항공 프로젝트도
이창양 "제2의 철강산업으로"
정부가 우주산업의 핵심소재인 탄소복합재 육성을 위한 전략을 마련했다. 203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이 되도록 고성능 기술을 자립화하고 기업의 기술개발을 위해 연간 3000억 원 규모의 대출 이차보전을 진행한다. 또 도심항공교통(UAM), 소형 발사체 등 3대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6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4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우주항공·방산 시대에 대응한 탄소복합재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탄소복합재는 탄소섬유 또는 탄소섬유에 플라스틱 수지 등을 첨가해 만든 중간재로, 철보다 10배 이상의 강도를 지녔으며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가격은 비싸지만, 낚싯대와 건축자재, 항공기 등 적용 분야가 다양해 '미래 산업의 쌀'로 불린다. 특히 최근 무게 절감이 중요한 우주항공, 방산 산업에 탄소복합재가 적합해 2030년까지 세계 시장 규모가 100조 원을 넘길 전망이다.
문제는 탄소복합재의 기술 장벽이 높아 일본과 미국 등 소수 국가가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방산 산업과 연결되다 보니 전략물자로 취급해 수출이 통제된 상태다.
정부는 100조 원 시장의 기회를 잡고 우주시대 개막과 2030년 UAM 대중화 등을 달성하기 위해 탄소복합재에 전략적인 투자를 감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고성능 탄소복합재 분야 기술 자립화 실현과 반값 탄소섬유 개발에 1850억 원을 투입한다. 고강도 탄소섬유는 세계 3번째로 원천기술을 확보한 만큼 2025년까지 양산 체제를 구축하고, 초고강도와 초고탄성 탄소섬유는 2028년까지 원천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국내 탄소복합재 기업이 국제 선도기업과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도록 기업의 생산능력 확대와 제품 신뢰성 향상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최근 국내 기업들은 2030년까지 생산시설 확충에 2조 1000억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인데, 정부는 연 3000억 원 규모의 대출에 관해 이차보전을 지원할 예정이다.
내수 규모를 키우고 세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총 1000억 원 규모의 우주항공 분야 3대 실증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4인승급 UAM, 소형 발사체, 저궤도 소형 인공위성을 실증 대상으로 선정하고 상세 기획 후 단계적인 진행에 나선다.
산업부는 탄소복합재, 우주항공과 방산 업계로 구성된 '탄소복합재 얼라이언스'를 내년에 출범한다. 각 단계 주요 기업과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이 동참한다.
이 장관은 "우주항공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K-방산을 수출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만큼, 필수재인 탄소복합재의 내재화는 매우 중요하다"며 "반도체와 함께 미래 산업의 쌀로 불리는 탄소복합재의 자립화 달성은 물론 제2의 철강산업으로 육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