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공의 지원율 10%대…의료계 “대통령 직속 논의 기구 만들고, 해법 찾아야”
소아청소년과 전문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의료계가 정부의 조속한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최근 3년간 전공의 지원율이 30%대를 넘지 못하고 있어서다.
특히 최근엔 대형병원인 가천대길병원이 전공의 부족으로 소아청소년과 입원진료 중단을 선언하면서 심각성이 다시 확인됐다. 의료계는 지방은 물론 수도권에서도 자칫 소아청소년들에 대한 진료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대한아동병원협회는 16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소아청소년 건강안전망 붕괴위기 극복을 위한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전문 인력 부족에 대해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에 따르면, 2023년 전반기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전체 정원 207명 중 33명만 지원해 전공의 지원율은 15.9%에 불과했다.
소위 ‘빅5’라 불리는 대형병원 5곳 중에서도 서울아산병원만 소아청소년과 모집 정원 8명 중 10명이 지원해 유일하게 정원을 채웠다. 서울대병원은 14명 모집에 10명, 삼성서울병원은 6명 모집에 3명이 지원했다. 서울성모병원이 포함된 가톨릭중앙의료원은 13명 모집에 1명이 지원했고, 세브란스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11명 모집에 지원자가 없었다.
소아청소년과 근무 전공의가 한 명도 없는 수련병원은 올해 기준 서울 12.5%, 지방 20%로 증가 추세다. 특히, 거점진료 수련병원의 전공의 부재 심화로 내년엔 필요 전공의 인력의 39%만 근무할 수 있는 상황이다.
김지홍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이사장(연세대 의대 소아과학교실 교수)은 “초저출산과 소아 진료의 특성상 필요한 많은 시간 투입과 업무강도에 못 미치는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가로 전공의 지원율이 최악으로 악화됐다”라며 “특히 고난이도, 중환자 진료와 응급진료의 축소 및 위축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 위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진료 현장에서는 소아청소년 환자에 대한 의료 공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은 “정부가 주저할 상황이 아니다”라며 “서울시내 한복판에서도 어린이가 진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부지기수다. 근본적인 대책이 나와야 우리 아이들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제발 한 번만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또한 박양동 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도 “근본적인 개선이 없다면 소아진료시스템은 그대로 무너질 것”이라며 “소방서가 있지만 정작 불끄는 소방관이 없는 사회가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회장은 대학병원 소아청소년 응급실 및 입원실 폐쇄가 가속화돼 결국 전문의 감소로 회복 불가능한 소아진료시스템의 붕괴가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단체들은 소아청소년과 진료 대란 방지와 전공의 인력 유입 회복을 위해 △중증도 중심의 2, 3차 진료 수가 및 진료전달체계 개편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수련 지원 △전국 수련병원의 인력 부족 위기 극복을 위한 전문의 중심 진료 전환 △1차 진료 회복을 위한 수가 정상화 △소아청소년과 필수의료 지원 및 정책 시행 전담 부서 신설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김 이사장은 “소아청소년의 건강안전망이 무너지기 전에 한시라도 빨리 대통령 직속 논의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며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기획재정부와 함께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이 현장 상황에 맞는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국회는 법과 예산으로 뒷받침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