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 칭화대에서 11월 27일 학생들이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항의하는 ‘백지 시위’를 벌이고 있다. 베이징/AP뉴시스
시진핑 국가주석은 10월 열린 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한 후에도 ‘제로 코로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주민의 불만과 분노가 들끓었다. 특히 신장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에서 11월 24일 발생한 화재가 도화선이 됐다. 당시 화재 발생에도 봉쇄 조치로 주민 대피가 지연돼 10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자 전국적으로 ‘제로 코로나’ 항의 시위가 들불처럼 번졌다. 참가자들은 당국의 언론 검열에 항의하는 의미로 ‘백지 시위’를 벌였으며 시 주석의 퇴진까지 요구했다.
세계 최대 아이폰 생산기지인 정저우 폭스콘 공장에서는 봉쇄를 피해 달아나는 근로자들이 속출했고, 폭동까지 발생했다. 중국의 엄격한 방역 지침에 경영이 악화한 기업들은 하나둘 생산기지를 이전하기 시작했다.
결국 중국 당국은 12월 ‘제로 코로나’에서 ‘위드 코로나’로 정책 전환에 나섰다. 그러나 정부가 대책 없이 ‘위드 코로나’를 시도하면서 혼란은 가중됐다. 병상·약품 부족에 시달렸고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했다. 중국 정부가 3년간 봉쇄와 검사에만 매달려 백신 접종과 의료 시스템 확충에 소홀한 결과, 자국은 물론 세계 경제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