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외환시장 안정 각별히 유의, 필요시 시장안정화 조치 적극 시행”
“분절화·높은 금리는 시장다변화·가계부채 개선 등 구조적 문제 해결 기회”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정책기조를 지속해야 하겠다.”
이창용<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1일 ‘2023년 신년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 물가안정목표 2%를 크게 웃도는 5%대 소비자물가 수준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새해에도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연 3.25% 수준인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 총재가 밝힌 금통위원들의 최종금리(터미널레이트) 평균수준 3.5%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 미 연준의 공격적 금리인상,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지난해 크게 흔들렸던 금융·외환시장 안정에도 각별히 유의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총재는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할 것”이라며 “대내외 리스크 요인의 전개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에는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극 시행하겠다”고 전했다.
물가, 경기, 금융안정간 상충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교한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미 연준을 비롯해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전개 양상에 따라 국제원자재가격이 급등락할 수 있으며, 중국 방역조치 완화 및 감염병 상황 변화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아직 예단하기 어렵다. 국내에서도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면서 관련 금융시장 불안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또 금리인상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물가, 경기, 금융 안정간 상충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므로 더욱 정교한 정책 조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무역의 분절화, 높은 금리 수준은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겠지만 관점을 달리하면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라고도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금리상승으로 국민들의 어려움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고물가 상황이 고착화되고 장기적으로 경제 전반에 더 큰 손실이 초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언급했다.
또 “국제무역의 분절화, 높은 금리 수준 등이 향후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지만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시장 다변화 등을 통해 중국 경제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낮추고, 고금리 환경 역시 높은 가계부채의 수준을 낮추고 부채구조를 개선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외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역할에 대해 보다 진취적인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고, 올해 한은 조직혁신 방안을 실행하는 만큼 직원들이 조직문화 개선과 내부경영 혁신에 능동적으로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