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금리, 모태펀드 축소 등 겹악재로 ‘제2벤처붐’이 꺾이자 창업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벤처기업협회에 따르면 업력 3년 미만의 초기창업 기업의 비율은 전체 벤처기업 중 26.3%를 조사됐다. 2017년 31.3%였던 초기창업 기업 비율은 내리 감소해 최근 5년 중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문제는 지역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창업이 줄어드는 가운데 초기창업 기업 10곳 중 7곳은 수도권에 소재지를 뒀다. 초기창업 벤처기업의 소재지는 수도권이 70.7%로 전체 벤처기업 64.8% 대비 5.9%p 높게 나타났다. 벤처투자도 수도권에서 77.3% 이뤄져 비수도권에 대한 투자 비중은 줄어들었다.
벤처기업 수도 비수도권에서 가장 큰 비중으로 사라지고 있었다. 2021년 12월 기준 벤처확인기업 수는 3만8319개사였지만 지난해 10월 기준 벤처확인기업 수는 3만5501개로 전년 대비 7.35% 줄어들었다. 수도권의 경우 약 4% 감소하는데 그쳤다. 대구·경북의 벤처 수는 전년 대비 14% 감소했고, 부산·울산·경남의 벤처 수는 16%나 줄어들어 전체 감소율의 2배를 넘어섰다.
벤처 지방소멸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지난해 지역 전용 펀드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유동성이 투입돼도 지방의 스타트업 초기 창업은 줄어들었다. 결국, 투자를 받을 스타트업도 지방에서 점차 사라지자 지방 벤처 생태계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졌다.
벤처·스타트업 업계는 벤처투자에 대한 펀드 외에도 인프라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초기 창업이 늘지 않은 이유로 기업을 운영할 기반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점을 업계는 꼽았다. 인프라 미흡으로 지역의 인력난도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방에서는 기업과 인력의 미스매칭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며 “뚜렷한 대책 없이는 벤처기업에 대한 지방 소멸은 가속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