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 조밀도 7㎞로 '촘촘'…지진탐지 시간 2초 단축 '피해 최소화'
인구 밀집 지역과 원자력 시설 등을 중심으로 지진관측망이 현재보다 2배 이상 확충된다. 이를 통해 지진탐지 시간이 2초가량 줄어들어 지진대피 가능 시간인 ‘골든타임’을 추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상청은 20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고밀도 국가지진관측망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국가 지진관측망은 기상청과 관계기관의 지진관측소 총 390개가 평균 약 16㎞ 격자 간격으로 설치돼 있다. 기상청은 이를 분석해 지진 최초 관측 후 5~10초 이내에 지진경보를 국민에게 제공한다.
기상청은 2027년까지 △인구 밀집 지역 △원자력 이용시설지역 △주요 단층 지역을 중심으로 총 329개의 지진관측망을 확충한다. 올해는 22개의 지진관측망을 신설하고, 2027년까지 매년 20개씩 확대한다.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7개 관계기관 관측소 227개는 내년까지 지진관측망에 포함한다.
일반감시구역 지진관측망도 2027년까지 132개 늘린다. 지진관측망은 지난해 기준 390곳에서 2027년 851곳으로 2배 이상 확대된다. 지진관측망 확충이 완료되면 현행 16㎞이었던 국가 지진관측망 조밀도는 7㎞로 2배 이상 촘촘해진다.
집중 확충 지역은 인구가 밀집된 서울과 수도권,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경북(한울·월성)과 전남(한빛), 부산(고리) 일대 등이다. 지진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돼 기상청에서 '집중감시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으로, 전체 한반도 면적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기상청은 "지진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한 신속한 지진경보 제공이 중요하나, 시스템 개선만으로는 지진경보 시간 단축에 한계가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진 발생 시 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지진관측망을 확충하고 지진탐지 시간을 단축해 지진경보 시간을 앞당기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지진탐지 시간도 단축된다. 지진 발생 후 최초 관측까지 시간이 집중감시구역에선 1.4초, 일반감시구역에서는 2.7초로 2초와 0.7초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기준 3.4초다. 이에 따라 지진경보서비스도 지금보다 2초 빠르게 국민에게 제공돼 지진 대피 가능 시간인 '골든타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원전 밀집지역 등에서 시범운영 중인 지진현장경보체계와 지진조기경보체계를 통합한 '병합지진경보체계'를 통해 2026년부터는 지진경보 발령 시간을 3~5초까지 줄인다는 계획이다.
정현숙 지진화산국장은 "집중감시구역 관측망 확충으로 탐지 시간을 2초 단축하고, 병합지진경보체계로 2초 줄이면 현재보다 4초 빨리 지진경보를 받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진조기경보 관련 연구에 따르면, 지진 발생 시 근거리 대피가 가능하면 인명피해의 80%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근거리 대피는 현재 진앙으로부터 40㎞ 이상 떨어진 지역부터 가능하나, 지진탐지 시간을 2초 단축하면 근거리 대피 가능지역이 36㎞ 이상으로 확대 된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지진의 발생 위치와 시기를 예측할 수 없으므로, 지진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지진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지진 피해 경감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기상청은 고밀도 국가 지진관측망 확충을 통한 신속한 지진경보서비스로, 지진이라는 거대한 자연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