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100조 시대’ 열린다…규제는 제자리걸음

입력 2023-04-25 06: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한국거래소
2002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어느새 ‘100조 원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주식 외에도 채권, 원자재, 부동산 등 투자 대상 자산도 다양해졌다. 다만 ETF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에도 관련 규제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표 상품으로 자리잡은 ETF=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ETF는 699개, 순자산총액은 92조8800억 원(21일 기준)이다. 2002년 4개 종목, 순자산 3444억 원으로 출발한 ETF 시장은 20여 년 만에 270배 가까이 몸집을 키웠다.

과거 코스피200 등 대표지수를 중심으로 꾸려졌던 ETF는 레버리지·인버스, 채권, 원자재, 부동산 등으로 투자 대상을 다변화하고 있다. 거래소 분류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해외주식형 ETF가 전체의 57.7%를 차지했고, △액티브형(18.9%) △레버리지·인버스(9.3%) △채권(6.7%) △원자재(0.7%) △부동산(0.5%)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부터는 가파른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주식시장이 꺾이고 채권금리가 급등하자 채권형 ETF가 쏟아졌다. 그간 채권 투자는 고액자산가나 기관투자자의 전유물로 여겨졌지만, ETF를 통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주식처럼 간편하게 매매할 수 있다는 점이 투자 수요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자산운용사들은 만기가 있는 채권형 ETF, 원금과 이자를 분리한 스트립채권(STRIPS) ETF, 하루마다 이자가 발생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나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등을 추종하는 금리형 ETF 등을 선보이며 투자 선택지를 넓히고 있다.

전체의 절반이 넘는 주식형 ETF 중에서는 단연 테마형 상품의 인기가 높다. 반도체, 이차전지 등 우리나라 경제를 이끄는 대표 산업뿐만 아니라 로봇, 친환경, 방산 등 미래 성장성이 기대되는 테마들에도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다양해진 선택지만큼 거래 규모도 커졌다. 지난해 말 전체 ETF의 하루평균 거래대금은 3조2200억 원으로, 코스피 전체 거래대금의 3분의 1(36.04%)을 훌쩍 넘겼다.

◇ETF 시장 ‘폭풍성장’…규제는 제자리걸음=ETF는 명실상부한 금융상품으로 자리 잡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우선 자산운용업계는 액티브형 ETF에 대한 상관계수 완화를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현행 제도는 기초지수(비교지수)와의 상관계수를 0.7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운용역의 역량이 제대로 발휘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액티브 ETF가 시장 대비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건 상관계수 영향도 있다고 본다”며 “운용역이 액티브(능동적)하게 운용할 수 있는 범위가 커져야 초과수익을 낼 수 있는 여력이 커진다”고 강조했다.

거래소 심사 기간이 길다는 지적도 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에 따르면 신청서를 제출하고 20거래일간 심사가 이뤄지는데, 신청 전 사전 협의나 금융위원회 등록까지 고려하면 ETF 상장에는 통상 2~3개월이 소요된다. 거래소는 작년 초 ETF상장팀을 신설하며 인력 확충에 나섰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시장의 흐름보다 늦은 ‘뒷북’ 상장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